수경재배정보

농도(EC, TDS)관리

촌장119 2025. 1. 5. 21:25

 

배양액 농도는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로 나타낸다. EC는 배양액 내 모든 이온농도를 합산하여 나타내는 수치다.

EC는 전이온농도라고도 하며, 각 무기성분의 함량을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전문기관에 배양액 분석을 의뢰해야 한다.

 

생육초기에는 작물의 양. 수분 흡수량이 적어 저농도(표준의 1/3)로 관리하고,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농도를 높인다.

잎과 줄기의 생육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질소를,

과일 생산을 위해서는 인, 칼륨, 칼슘 농도를 높이는 목적에 맞는 성분의 농도 조절이 필요하다.

 

배양액 농도는 겨울철에는 높게, 여름철에는 낮게 관리하는데 이것은 계절에 따른 수분소비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작물벌 적정 뿌리 주변(근권) 배양액 농도는

열매채소류(과채류) 2.5 ~ 3.5 dS.m-1, (1,250 ~ 1,750 ppm, 계수 500 적용)

절화류(꽃) 2.0 ~ 2.5 dS.m-1 (1,000 ~ 1,250 ppm, 계수 500 적용)

입채소류(엽채류) 1.5 ~ 2.0 dS.M-1 (750 ~ 1,000 ppm, 계수500적용)

수준이다.

 

광량이 부족한 겨울철이나 이상기후로 충분한 빛을 확보할 수 없을 때는,

열매채소류(과채류) 3.0 ~ 6.0 dS.m-1, (1,500 ~ 3,000 ppm, 계수500적용)

로 짙게 관리하기도 한다.

 

순환식은 비순환식보다 낮게 관리하고 피트모스나 코코피트 등의 유기재지는 낮게, 암면과 펄라이트 등의 무기배지는 다소 짙게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s. 참조자료. (농업기술길라잡이 191) 식물공장 / 제2장 인공광 식물공장 / 7. 수경재배 / 나. 배양액 관리 기술 / 1) 농도(EC) 관리 (p132)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b/psbx/cropEbookLst.ps?menuId=PS65290&sText=&pageIndex=1&pageSize=10&sKeyword=&sNameOrderAt=Y&group2Cnt=&cropEbookGubunChk=&sStdPrdlstCode=&sStdTchnlgyCode=&stdPrdlstCode=&sRdaStdPrdlstCode=&sRdaStdTchnlgyCode=&kidofcomdtyNo=0&sOldDtShowAt=N&sSearchText=&sSearchType=srchType02&cNo=173&stdItemCd=AE04AE45&cropsEbookNm=%EC%8B%9D%EB%AC%BC%EA%B3%B5%EC%9E%A5#

 

 

농업기술길잡이 | 농사로

농업기술길잡이 목차 번호, 목차, 페이지

www.nongsaro.go.kr

 

- - - - - - - - - -

현재 엽채류만 키우고 있고, 양액에 칼슘을 추가하기 전에는 800ppm이라서 적정했는데,

칼슘을 추가한 이후 1400ppm으로 높게 나왔습니다. 식물상태를 봐가면 칼슘농도를 줄여야겠네요.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