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0.7L추가. 양액 a,b는 3ml 추가 (농도유지) 1번 측정기 5.4*는 오류값으로 보임. 수돗물pH를 고려하면 수치값이 더 작을 수는 없음.
2025-01-05 21
4.5
1428
6.36
24
21
5120
칼슘추가로 TDS값이 높게 측정됨. 다음엔 농도를 1200ppm 이하로 낮출 것.
2025-01-12 23
4.3
1284
6.6
23
21
5120
모자라는 양액은 오른쪽 수경재배기에 있는 걸로 채웠습니다.
2025-01-16 23
3.9
1352
7.02
22.7
27.4
2744
pH농도가 처음으로 증가함. 광량을 줄여서인지(3단 높이에 LED단계 2단계)
2025-01-16 23
4.5
1390
6.7
21.5
36.5
2560
산도조절제를 사용해서 조절함 광량은 유지하고,LED 등 높이를 4단 높이로, LED단계 3단으로 조정함. 같은 광량이라도, 높은 곳에서 내리는게 빛을 골고루 받을 수 있을 것 같음.
2025-01-19 11
4.1
1318
6.7
23.5
36.5
2560
ph유지중
2025-01-19 18
4.5
1284
6.8
23.2
33.7
4457(10.8) 2560(10.0)
양액보충 (양액 963ppm / 6.7pH / 23.2℃) 식물 상부 기준으로 10.8EV 값인 높이 33.7cm로 설정함.
2025-01-21 22
4.1
-
7.0
-
33.7
4457(10.8) 2560(10.0)
pH증가로 양액 교체함. 재배기 펌프 및 내부 청소함
2025-01-21 23
4.5
1002
6.73
22.8
33.7
4457(10.8) 2560(10.0)
-
2025-01-24 23
4.0
-
7.3
-
33.7
4457(10.8) 2560(10.0)
pH가 계속 증가하는 현상이 있음.
2025-01-24 23
4.5
-
6.73
-
27.5
-
밝기는 측정전. 익일 측정 예정. 산도조절제 사용.
2025-01-25 11
4.25
1085
6.3
22
33.7
4457(10.8) 2560(10.0)
뿌리 갈변으로, 갈변 뿌리 정리하고 새 양액을 교체함 수위는 뿌리 산소 공급을 위해서, 4.25로 맞춤. 갈변 뿌리 제거 후, 회복을 위해서 현재 광량 유지함. 뿌리 상태가 호전 후 LED 광량 조절할 것.
2025-01-26 18
4.1
1089
6.8
23.5
27.5
5487(11.1) 3378(10.4)
pH증가중. LED높이 조정함.
2025-01-30 19
3.9
1042
6.14
22.4
27.5
5487(11.1) 3378(10.4)
pH감소. 양액만 보충함. 뿌리상태 양호함.
2025-01-30 20
4.5
1119
6.3
22.7
27.5
5487(11.1) 3378(10.4)
-
2. 오른쪽 수경재배기 (실내 - 발아용) 발아용 재배기로, 기존 양액 조금하고 물만 희석했습니다.
일자 시간
수위 (L)
TDS (ppm)
pH 농도
온도 (℃)
광원 높이 (cm)
광량 (lux)
비고
2025-01-12 23
4.6
446
7.5
23.5
36.5
2560
기존 양액 + 물=> pH농도 조절 필요. 6.5pH로 낮출 것.
2025-01-12 23
4.6
382
6.5
-
36.5
2560
ph조정 후
2025-01-16 23
4.4
435
7.0
21.9
36.5
2560
산도가 다시 올라감. 새싹이라 올라갈 이유가 없는데, 이전값이 잘못 된 것인지...흠;
2025-01-16 23
4.5
466
6.54
20.4
36.5
2560
산도조절제를 사용해서 조절함. 양액을 소량 추가함.
2025-01-19 18
4.6
435
6.76
23.5
21
5120
식물 상부 기준으로 10.8EV값인 높이 21cm로 설정함.
2025-01-21 23
4.5
741
6.42
22.4
21
5120
기존양액과 왼쪽재배기 양액을 섞어서 넣음
2025-01-31 11
4.5
719
5.83
22.4
21
5120
3. 발코니 수경재배기 모종 이상 단계의 정식한 엽채류를 키우고 있습니다. 포트 14개 중 13는 성장중이고, 1개는 새싹인데 테스트 겸 관찰하고 있어요.
일자 시간
수위 (L)
TDS (ppm)
pH 농도
온도 (℃)
비고
2025-01-12 23
90%
1352
7.3
22
pH농도 체크를 안했나 보네요. ㅠㅠ; 1. TDS - 900ppm 으로 조정할 것. 2. 6.5pH로 조정할 것.
2025-01-12 23
90%
1352
6.6
22
시간이 늦어서, pH만 조정
2025-01-13 23
90%
1170
6.5
21
pH추가 조정 후 측정
2025-01-18 13
90%
1182
6.64
23
-
2025-01-21 23
90%
1253
6.73
21.1
왼쪽재배기 양액을 1L 정도 보충함. 측정치는 1L 추가 전 측정값입니다.
2025-01-26 14
40%
1142
6.11
24
양액보충-전
2025-01-26 16
90%
1142
6.54
24
양액보충-후
2025-01-31 11
86%
1367
5.6
18.4
양액보충-전
4. 측정기 소개 ※ TDS와 pH농도 값은 측정기2,3의 값 입니다.
아래 측정기 왼쪽부터 1,2,3 이면, 1번은 ppm, ph농도를 모두 측정이 가능하고, (이제 사용 안함.양액 내에서 값이 계속 내려가는 오류가 있어서 제외함) 2번은 pH농도만 측정이 가능하고, (아쉽게도 hold 기능이 없습니다.) 3번은 ppm농도만 측정이 가능합니다.
몇 일 전부터 왼쪽 수경재배기 상추가 잎은 많이 나는데 잎이 안크네요. (왼쪽 상두 2개가 주로 잎이 많이 나는 포트)
이것 저것 살펴보다가 뿌리 상태를 보니, 기존 뿌리가 모두 삭고, 새 뿌리가 나오고 있네요.
1월 25 일에 갈변 뿌리 제거할 때 기존 뿌리를 잘못 건드렸나 봅니다. ㅠㅠ;;;;
뿌리가 새로 나오니까, 영양흡수가 안되서 요즘 못 컸나봅니다.
뿌리는 건드리는게 아닌 가 봅니다. 만진다면 갈변 부분만 대충 가위로 자를 고 손으로 뿌리를 만지지는 마세요. ㅠㅠ;;;
2025-01-25(토) 내용
왼쪽 수경재배기 갈변 뿌리 제거 및 양액 교체
1. 왼쪽 수경재배기 청소
2. 1/25 오전에 갈변한 뿌리는 제거함.
너무 엉켜있어서 가위로 자르기는 힘들고(잘 보이지도 않아요), 뿌리를 물에 담구면 특정 부위에서 먼지가 뭉쳐져 있는 부분이 보여서, 해당 부분을 중심으로 갈변한 곳을 살살 풀면서 떼어냄. 갈변 부위는 이미 떨어져 있거나, 약하게 붙어 있어서인지 살살 풀어낸다는 느낌으로 살짝 쓸어내리면 해당 부위가 빠져나왔습니다.
(이 방법이 맞는지는 몇일 기다려 봐야겠습니다. ChatGPT에는 소독한 가위 칼을 사용하라는 데,정상인 뿌리와 갈변 부위가 섞여있고 뿌리가 가늘어서 잘 보이지도 않음.)
3. 양액을 새로 넣어주고, pH농도까지 산도조절제를 사용해서 맞춤.
좌측에 갈변한 뿌리 부분을 살살 쓸어내면 우측처럼 갈변 부위가 빠져나왔습니다.
그리고, 발아한 치커리 잎이 4~5장 나와서 발코니 재배기로 정식했습니다. ^^;;;
- - - - - - - - - - - - - - - - -
발코니 수경재배기 추가하고, 실내 왼쪽 수경재배기는 그대로 유지하고, 오른쪽 수경재배기는 발아용 재배기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TDS, pH농도 유지 목표 - TDS 수치는 800ppm ~ 900ppm - pH농도는 6.0pH ~ 6.5 pH.pH농도는 최근 낮아지고 있어서 양액 조정 후 6 pH 초반으로 조정하기로 함
물 0.7L추가. 양액 a,b는 3ml 추가 (농도유지) 1번 측정기 5.4*는 오류값으로 보임. 수돗물pH를 고려하면 수치값이 더 작을 수는 없음.
2025-01-05 21
4.5
1428
6.36
24
21
5120
칼슘추가로 TDS값이 높게 측정됨. 다음엔 농도를 1200ppm 이하로 낮출 것.
2025-01-12 23
4.3
1284
6.6
23
21
5120
모자라는 양액은 오른쪽 수경재배기에 있는 걸로 채웠습니다.
2025-01-16 23
3.9
1352
7.02
22.7
27.4
2744
pH농도가 처음으로 증가함. 광량을 줄여서인지(3단 높이에 LED단계 2단계)
2025-01-16 23
4.5
1390
6.7
21.5
36.5
2560
산도조절제를 사용해서 조절함 광량은 유지하고,LED 등 높이를 4단 높이로, LED단계 3단으로 조정함. 같은 광량이라도, 높은 곳에서 내리는게 빛을 골고루 받을 수 있을 것 같음.
2025-01-19 11
4.1
1318
6.7
23.5
36.5
2560
ph유지중
2025-01-19 18
4.5
1284
6.8
23.2
33.7
4457(10.8) 2560(10.0)
양액보충 (양액 963ppm / 6.7pH / 23.2℃) 식물 상부 기준으로 10.8EV 값인 높이 33.7cm로 설정함.
2025-01-21 22
4.1
-
7.0
-
33.7
4457(10.8) 2560(10.0)
pH증가로 양액 교체함. 재배기 펌프 및 내부 청소함
2025-01-21 23
4.5
1002
6.73
22.8
33.7
4457(10.8) 2560(10.0)
-
2025-01-24 23
4.0
-
7.3
-
33.7
4457(10.8) 2560(10.0)
pH가 계속 증가하는 현상이 있음.
2025-01-24 23
4.5
-
6.73
-
27.5
-
밝기는 측정전. 익일 측정 예정. 산도조절제 사용.
2025-01-25 11
4.25
1085
6.3
22
33.7
4457(10.8) 2560(10.0)
뿌리 갈변으로, 갈변 뿌리 정리하고 새 양액을 교체함 수위는 뿌리 산소 공급을 위해서, 4.25로 맞춤. 갈변 뿌리 제거 후, 회복을 위해서 현재 광량 유지함. 뿌리 상태가 호전 후 LED 광량 조절할 것.
2025-01-26 18
4.1
1089
6.8
23.5
27.5
5487(11.1) 3378(10.4)
pH증가중. LED높이 조정함.
2. 오른쪽 수경재배기 (실내 - 발아용) 발아용 재배기로, 기존 양액 조금하고 물만 희석했습니다.
일자 시간
수위 (L)
TDS (ppm)
pH 농도
온도 (℃)
광원 높이 (cm)
광량 (lux)
비고
2025-01-12 23
4.6
446
7.5
23.5
36.5
2560
기존 양액 + 물=> pH농도 조절 필요. 6.5pH로 낮출 것.
2025-01-12 23
4.6
382
6.5
-
36.5
2560
ph조정 후
2025-01-16 23
4.4
435
7.0
21.9
36.5
2560
산도가 다시 올라감. 새싹이라 올라갈 이유가 없는데, 이전값이 잘못 된 것인지...흠;
2025-01-16 23
4.5
466
6.54
20.4
36.5
2560
산도조절제를 사용해서 조절함. 양액을 소량 추가함.
2025-01-19 18
4.6
435
6.76
23.5
21
5120
식물 상부 기준으로 10.8EV값인 높이 21cm로 설정함.
2025-01-21 23
4.5
741
6.42
22.4
21
5120
기존양액과 왼쪽재배기 양액을 섞어서 넣음
3. 발코니 수경재배기 모종 이상 단계의 정식한 엽채류를 키우고 있습니다. 포트 14개 중 13는 성장중이고, 1개는 새싹인데 테스트 겸 관찰하고 있어요.
일자 시간
수위 (L)
TDS (ppm)
pH 농도
온도 (℃)
비고
2025-01-12 23
90%
1352
7.3
22
pH농도 체크를 안했나 보네요. ㅠㅠ; 1. TDS - 900ppm 으로 조정할 것. 2. 6.5pH로 조정할 것.
2025-01-12 23
90%
1352
6.6
22
시간이 늦어서, pH만 조정
2025-01-13 23
90%
1170
6.5
21
pH추가 조정 후 측정
2025-01-18 13
90%
1182
6.64
23
-
2025-01-21 23
90%
1253
6.73
21.1
왼쪽재배기 양액을 1L 정도 보충함. 측정치는 1L 추가 전 측정값입니다.
2025-01-26 14
40%
1142
6.11
24
양액보충-전
2025-01-26 16
90%
1142
6.54
24
양액보충-후
4. 측정기 소개 ※ TDS와 pH농도 값은 측정기2,3의 값 입니다.
아래 측정기 왼쪽부터 1,2,3 이면, 1번은 ppm, ph농도를 모두 측정이 가능하고, (이제 사용 안함.양액 내에서 값이 계속 내려가는 오류가 있어서 제외함) 2번은 pH농도만 측정이 가능하고, (아쉽게도 hold 기능이 없습니다.) 3번은 ppm농도만 측정이 가능합니다.
물 0.7L추가. 양액 a,b는 3ml 추가 (농도유지) 1번 측정기 5.4*는 오류값으로 보임. 수돗물pH를 고려하면 수치값이 더 작을 수는 없음.
2025-01-05 21
4.5
1428
6.36
24
21
5120
칼슘추가로 TDS값이 높게 측정됨. 다음엔 농도를 1200ppm 이하로 낮출 것.
2025-01-12 23
4.3
1284
6.6
23
21
5120
모자라는 양액은 오른쪽 수경재배기에 있는 걸로 채웠습니다.
2025-01-16 23
3.9
1352
7.02
22.7
27.4
2744
pH농도가 처음으로 증가함. 광량을 줄여서인지(3단 높이에 LED단계 2단계)
2025-01-16 23
4.5
1390
6.7
21.5
36.5
2560
산도조절제를 사용해서 조절함 광량은 유지하고,LED 등 높이를 4단 높이로, LED단계 3단으로 조정함. 같은 광량이라도, 높은 곳에서 내리는게 빛을 골고루 받을 수 있을 것 같음.
2025-01-19 11
4.1
1318
6.7
23.5
36.5
2560
ph유지중
2025-01-19 18
4.5
1284
6.8
23.2
33.7
4457
양액보충 (양액 963ppm / 6.7pH / 23.2℃) 식물 상부 기준으로 10.8EV 값인 높이 33.7cm로 설정함.
2025-01-21 22
4.1
-
7.0
-
33.7
4457
pH증가로 양액 교체함. 재배기 펌프 및 내부 청소함
2025-01-21 23
4.5
1002
6.73
22.8
33.7
4457
-
2025-01-24 23
4.0
-
7.3
-
33.7
4457
pH가 계속 증가하는 현상이 있음.
2025-01-24 23
4.5
-
6.73
-
27.5
-
밝기는 측정전. 익일 측정 예정. 산도조절제 사용.
※ 양액이 염기성으로 변해서, 적절한 광량을 찾기위해서 광량을 조절함.
양액은 처음에 재배기에 포함된 가루 양액을 사용했고, 현재는 대유물푸레 사용중.
※ 2025-01-19 부터 광량값은 식물 상위 부근이 기준으로 측정함.
2. 오른쪽 수경재배기 (실내 - 발아용) 발아용 재배기로, 기존 양액 조금하고 물만 희석했습니다.
일자 시간
수위 (L)
TDS (ppm)
pH 농도
온도 (℃)
광원 높이 (cm)
광량 (lux)
비고
2025-01-12 23
4.6
446
7.5
23.5
36.5
2560
기존 양액 + 물=> pH농도 조절 필요. 6.5pH로 낮출 것.
2025-01-12 23
4.6
382
6.5
-
36.5
2560
ph조정 후
2025-01-16 23
4.4
435
7.0
21.9
36.5
2560
산도가 다시 올라감. 새싹이라 올라갈 이유가 없는데, 이전값이 잘못 된 것인지...흠;
2025-01-16 23
4.5
466
6.54
20.4
36.5
2560
산도조절제를 사용해서 조절함. 양액을 소량 추가함.
2025-01-19 18
4.6
435
6.76
23.5
21
5120
식물 상부 기준으로 10.8EV값인 높이 21cm로 설정함.
2025-01-21 23
4.5
741
6.42
22.4
21
5120
기존양액과 왼쪽재배기 양액을 섞어서 넣음
3. 발코니 수경재배기 모종 이상 단계의 정식한 엽채류를 키우고 있습니다. 포트 14개 중 13는 성장중이고, 1개는 새싹인데 테스트 겸 관찰하고 있어요.
일자 시간
수위 (L)
TDS (ppm)
pH농도
온도 (℃)
비고
2025-01-12 23
90%
1352
7.3
22
pH농도 체크를 안했나 보네요. ㅠㅠ; 1. TDS - 900ppm 으로 조정할 것. 2. 6.5pH로 조정할 것.
2025-01-12 23
90%
1352
6.6
22
시간이 늦어서, pH만 조정
2025-01-13 23
90%
1170
6.5
21
pH추가 조정 후 측정
2025-01-18 13
90%
1182
6.64
23
-
2025-01-21 23
90%
1253
6.73
21.1
왼쪽재배기 양액을 1L 정도 보충함. 측정치는 1L 추가 전 측정값입니다.
4. 측정기 소개 ※ TDS와 pH농도 값은 측정기2,3의 값 입니다.
아래 측정기 왼쪽부터 1,2,3 이면, 1번은 ppm, ph농도를 모두 측정이 가능하고, (이제 사용 안함.양액 내에서 값이 계속 내려가는 오류가 있어서 제외함) 2번은 pH농도만 측정이 가능하고, (아쉽게도 hold 기능이 없습니다.) 3번은 ppm농도만 측정이 가능합니다.
물 0.7L추가. 양액 a,b는 3ml 추가 (농도유지) 1번 측정기 5.4*는 오류값으로 보임. 수돗물pH를 고려하면 수치값이 더 작을 수는 없음.
2025-01-05 21
4.5
1428
6.36
24
21
5120
칼슘추가로 TDS값이 높게 측정됨. 다음엔 농도를 1200ppm 이하로 낮출 것.
2025-01-12 23
4.3
1284
6.6
23
21
5120
모자라는 양액은 오른쪽 수경재배기에 있는 걸로 채웠습니다.
2025-01-16 23
3.9
1352
7.02
22.7
27.4
2744
pH농도가 처음으로 증가함. 광량을 줄여서인지(3단 높이에 LED단계 2단계)
2025-01-16 23
4.5
1390
6.7
21.5
36.5
2560
산도조절제를 사용해서 조절함 광량은 유지하고,LED 등 높이를 4단 높이로, LED단계 3단으로 조정함. 같은 광량이라도, 높은 곳에서 내리는게 빛을 골고루 받을 수 있을 것 같음.
2025-01-19 11
4.1
1318
6.7
23.5
36.5
2560
ph유지중
2025-01-19 18
4.5
1284
6.8
23.2
33.7
4457
양액보충 (양액 963ppm / 6.7pH / 23.2℃) 식물 상부 기준으로 10.8EV 값인 높이 33.7cm로 설정함.
2025-01-21 22
4.1
-
7.0
-
33.7
4457
pH증가로 양액 교체함. 재배기 펌프 및 내부 청소함
2025-01-21 23
4.5
1002
6.73
22.8
33.7
4457
-
※ 양액이 염기성으로 변해서, 적절한 광량을 찾기위해서 광량을 조절함.
양액은 처음에 재배기에 포함된 가루 양액을 사용했고, 현재는 대유물푸레 사용중.
※ 2025-01-19 부터 광량값은 식물 상위 부근이 기준으로 측정함.
2. 오른쪽 수경재배기 (실내 - 발아용) 발아용 재배기로, 기존 양액 조금하고 물만 희석했습니다.
일자 시간
수위 (L)
TDS (ppm)
pH 농도
온도 (℃)
광원 높이 (cm)
광량 (lux)
비고
2025-01-12 23
4.6
446
7.5
23.5
36.5
2560
기존 양액 + 물=> pH농도 조절 필요. 6.5pH로 낮출 것.
2025-01-12 23
4.6
382
6.5
-
36.5
2560
ph조정 후
2025-01-16 23
4.4
435
7.0
21.9
36.5
2560
산도가 다시 올라감. 새싹이라 올라갈 이유가 없는데, 이전값이 잘못 된 것인지...흠;
2025-01-16 23
4.5
466
6.54
20.4
36.5
2560
산도조절제를 사용해서 조절함. 양액을 소량 추가함.
2025-01-19 18
4.6
435
6.76
23.5
21
5120
식물 상부 기준으로 10.8EV값인 높이 21cm로 설정함.
2025-01-21 23
4.5
741
6.42
22.4
21
5120
기존양액과 왼쪽재배기 양액을 섞어서 넣음
3. 발코니 수경재배기 모종 이상 단계의 정식한 엽채류를 키우고 있습니다. 포트 14개 중 13는 성장중이고, 1개는 새싹인데 테스트 겸 관찰하고 있어요.
일자 시간
수위 (L)
TDS (ppm)
pH농도
온도 (℃)
비고
2025-01-12 23
90%
1352
7.3
22
pH농도 체크를 안했나 보네요. ㅠㅠ; 1. TDS - 900ppm 으로 조정할 것. 2. 6.5pH로 조정할 것.
2025-01-12 23
90%
1352
6.6
22
시간이 늦어서, pH만 조정
2025-01-13 23
90%
1170
6.5
21
pH추가 조정 후 측정
2025-01-18 13
90%
1182
6.64
23
-
2025-01-21 23
90%
1253
6.73
21.1
왼쪽재배기 양액을 1L 정도 보충함. 측정치는 1L 추가 전 측정값입니다.
4. 측정기 소개 ※ TDS와 pH농도 값은 측정기2,3의 값 입니다.
아래 측정기 왼쪽부터 1,2,3 이면, 1번은 ppm, ph농도를 모두 측정이 가능하고, (이제 사용 안함.양액 내에서 값이 계속 내려가는 오류가 있어서 제외함) 2번은 pH농도만 측정이 가능하고, (아쉽게도 hold 기능이 없습니다.) 3번은 ppm농도만 측정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