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길잡이 / 잎들깨
농업기술길잡이 | 농사로
농업기술길잡이 목차 번호, 목차, 페이지
www.nongsaro.go.kr
요약 정보
제 2장 생육 및 작물학적 특성
1. 형태적 특성
2. 환경과 생육
- 들깨의 적정 생육환경
- 생육온도가 10~15℃ 사이에서는 광합성 속도가 거의 변화가 없고,
20℃에서 최대에 이르며,
25℃이상의 온도에서는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 생육적은은 20℃ 전후로 벼, 옥수수 등 다른 작물에 비해 낮으며, 온도에 대한 반응도 매우 둔감한 반면,
- 광량에는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여 약 5,000 lux인 광보상점으로 부터 광포화점인 120,000 lux 까지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광합성 속도가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한여름의 고온기에 일사량이 많은 환경에서도 높은 생장속도를 유지한다. - 들깨의 평균 생육기간은 130일로서 적산온도 2,860℃, 강수량 625mm, 일조사긴 772시간 내외가 적정한 생육환경이다.
- 생육온도가 10~15℃ 사이에서는 광합성 속도가 거의 변화가 없고,
구분 | 발아적온 | 발아최저온도 | 생육적온 | 생육최저온도 | 개화한계일장 |
적정환경 | 15~20℃ | 15~20℃ | 20~30℃ | 5℃ | 15시간 |
- 일장
- 개화한계일장은 15시간
- 수분
- 내건성이 강해서 가뭄이 심해도 생육에 큰 장해를 받지 않는다.
- 가품이 심해도 생육에 큰 장해를 받지 않아 예부터 경제작물의 파종이 곤란할 때 대파작물(代播作物)로 많이 이용됐다.
- 타 작물보다 수분요구가 적어 지나치게 습한 경우 도장하기 쉽고 결실이 불량하게 되어 품질이 떨어지므로 생육 중에는 배수에 유의해야 한다.
- 토양
- 들깨는 측박한 환경에도 재배적응력이 높으나,
- 지나치게 습하거나 비옥한 토양에서는 결실불량 또는 지나친 영양생장으로 쓰러지기 쉬우므로 배수가 비교적 잘 되는 사지양토가 적합한 토양이다.
제 3장 재배기술
시설하우스 재배
- 온도 및 수분관리
- 저온 장해는 3℃에서 8시간 0℃에서 4시간 이상일 경우 저온 장해를 받을 수 있다.
- 야간은 15℃까지 높을 수록 생육이 양호하나 10~15℃ 사이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으며 최저 7℃를 유지해주는 것이 유리하다.
- 주간 온도가 25℃ 이상 올라갈 경우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좋다.
- 전등조명 재배기술
- 들깨는 단일조건 하에서 꽃눈분화가 촉진되는 전형적인 단일성 작물이다.
- 장일식물: 하루의 일조시간이 일정시간(12~14시간) 이상되지 않으며 꽃눈을 형성하지 않는 식물
- 단일식물: 보통 탖이 12시간 이하로 짧아지면 꽃을 피우는 식물(낮의 길이가 짧을 때 꽃이 피는 식물)
- 잎들깨 겨울 시설재배 시 꽃눈분화를 억제하고 품질 좋은 잎을 생산하기 위하여 야간조명을 실시하여야 한다.
- 잎들깨 시설재배 시 가을부터 초봄까지는 일장이 짧아 야간조명이 필요하며, 봄철 일장이 길어지고 채엽 종료시점이 가까워짐에 따라 야간조명을 계속할 필요가 없는 시기다.
- 잎들깨 재배 시 야간조명을 중단하면 식물체가 일장을 감응하여 꽃눈이 분화되기 시작하고 약 1개월 후에는 화뢰(華蕾 : 꽃봉우리)가 출현하고 개화가 시작한다.
따라서 야간조명을 중단하여도 약 1 개월 정도는 잎을 계속 수확할 수 있다.- 조명개시시기: 본옆 3매 출연시 (일장감응시기는 본옆 3엽기임)
- 일반조명시간: 밤12시부터 2시간 조명(일장이 15시간 이상 되도록 조명)
- 조명광도: 25 lux 이상
- 간단조명시간: 55분조명 15분 암상태, 8시부터 아침 4시까지 반복조명
- 조명중단시기: 8월20일부터 ~ 이듬해 5월 1일 까지
- 들깨는 단일조건 하에서 꽃눈분화가 촉진되는 전형적인 단일성 작물이다.
end.
'수경재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경재배기 두껑의 작은 구멍에 대해서 (0) | 2025.01.18 |
---|---|
저면담배수 방식 / Ebb-and-Flood 재배기 (0) | 2025.01.18 |
작물별 주요특징 - 상추 (1) | 2025.01.07 |
광 및 온도 조건에 따른 엽채류 초기 광발율 (0) | 2025.01.06 |
산도(pH) 관리 (1)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