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길잡이 / 부추
농업기술길잡이 | 농사로
농업기술길잡이 목차 번호, 목차, 페이지
www.nongsaro.go.kr
Chapter 1 재배내력 및 영양적 가지
02. 영양적 가치 및 효능
가. 영양적 가치
- 부추는 단백질, 지질, 회분, 섬유질, 카로틴, 비타민 B2, 비타민 C, 칼슘, 철 등의 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녹색 채소이다.
나. 효능
- 마늘, 양파 등에 들어있는 황화합물이 결장암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 일본의 과학자들은 식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합물이 과산화지질에 대하여 강력한 항산화물로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 부추의 독특한 냅새의 성분인 황화아릴은 몸에 흡수되면 자율신경을 자극하여 에너지 대사를 높인다. 즉 부추를 먹으면 몸이 따뜻해지는 것이 이 때문이다.
- β-카로틴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데, β-카로틴의 역할은 항암효과가 크다는 사실이 입증된 바 있다.
- 부추에는 비타민 B1, B2 및 C 등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 부추는 무기질이 풍부하며, 특히 칼슘과 철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Chapter 2 형태적.생리적 특징
01 형태적 특징
02 생리적 특징
가. 번식(가지치기)
- 부추의 번식은 포기나누기로 가능하나 주로 종자번식을 하며, 봄부터 가을에 걸쳐 생장하나 한여름에는 고온으로 일시적인 쇠퇴를 한다.
- 주년재배로 3~4년 재배가 가능하며, 혹한기를 제외한 연중재배가 가능한다.
- 부추는 파류 중에서도 분얼력이 강하여 생육기에는 분얼력이 왕성해져 분얼에 의해 주수가 증가하므로 종자를 파종하는 것보다 주로 분주에 의하여 증식한다.
- 부추의 분얼력은 봄에 파종한 대엽종은 7월 중순부터 시작하여 가을까지 한 개체 평균 23.6주를 가지치기하며 발생엽수는 약 50.5엽이 생긴다.
나. 휴면
- 부추는 내서성(耐暑性)이 강하여 봄부터 가을까지 생육을 계속하다가 단일과 저온 조건인 10월 하순 이후에 휴면에 들어간다.
다. 화아분화
- 부추는 고온, 장일하에서 6월 상, 중순부터 화아분화를 일으켜 7~8월에 30cm 이상의 화경이 추대하여 개화된다.
- 종자채종을 하지 않을 경우 수시로 꽃대를 제거시킨다.
Chapter 3 품종 및 재배환경
01 품종육종
02 품종별 특성
03 알맞은 재배환경
가. 토양
- pH는 6.0 ~ 6.5의 중성토양에서 가장 생육이 왕성하다.
나. 온도
- 부추종자의 발아온도는 20℃ 전후이며, 10℃이하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고, 25℃이상 시 발아일수가 짧아지나 발아율이 낮다.
- 생육적온은 18 ~ 20℃로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좋아한다.
- 5℃이하에는 생육이 정지되고,
- 25℃이상에서는 잎의 신장은 왕성하나 잎이 가늘고, 생육 부진으로 섬유질이 많고 발생 엽 수도 적다.
- 추위와 더위에 강하여 30℃까지 생육이 되고, 영향 6~10℃에서 지상부의 잎은 죽으나 땅 속의 뿌리줄기는 영하 40℃에서도 견딘다.
- 30℃이상에서는 생육이 완만하고 그 이상이 되면 잎 끝이 꾸부러지면서 잎이 황백색으로 타게 된다.
- 분얼온도는 16~23℃에서 왕성하며,
- 고온에서 자란 잎은 섬유질이 많고 질기며 생장인 불량한 관계로 품질이 좋지 않다.
다. 광도
- 광의 조건은 적용범위가 2,400 ~ 40,000 Lux에서 재배가능하며 너무 강한 광선에서는 섬유질이 많아지고 향기가 적어져서 품질이 떨어진다.
- 약한 광에서는 탄수화물 축적과 향기가 적어지게 되어 세력이 나빠지고 수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너무 많은 차광은 좋지 않다.
라. 수분
- 수분조건은 충분한 양의 수분을 요구하며, 부족 시 섬유질이 많아진다.
- 부추는 양분과 수분의 흡수력이 매우 강하므로 건조에 매우 민감하다. 토양습도는 80% 전후로 토양수분이 많아야 생장도 원활하고 잎이 부드러워진다.
- 건조하면 상대적으로 생장이 둔화하고 섬유질이 많아진다.
- 장마기에는 배수를 철저히 하여야 하고 침수와 과습은 식물체를 썩어버리게 한다.
Chapter 4 안전재배기술
01 재배작형
- 부추의 작형은 크게 노지재배, 시설재배로 나뉜다.
- 노지재배는 이식재배와 직파재배로 나뉘며, 4월부터 10월까지 수확이 가능하지만 대체적으로 수확시기는 4~6월에 봄베기, 7~8월의 여름베기, 9~10월의 가을베기로 나뉘며 보통 4~5회 수확한다.
02 노지재배
03 시설재배 기술
- 하우스재배
Chapter 5 병해충 및 생리장해
Chapter 6 수확 및 이용
end.
'수경재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물별 주요특징 - 청경채 (0) | 2025.01.26 |
---|---|
수경재배기 청소주기 (0) | 2025.01.25 |
수경재배기 두껑의 작은 구멍에 대해서 (0) | 2025.01.18 |
저면담배수 방식 / Ebb-and-Flood 재배기 (0) | 2025.01.18 |
[요약] 잎들깨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