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촌놈을 위한 책 입니다. ^^;;;
만화 형식이라 조금이나마 지루함이 덜합니다.
내용이 조금씩 반복되서 학습효과가 있습니다.
주로 흙과 비료 이야기이긴 하지만, 수경재배할 때 사용하는 양액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습니다.
3편에서 보면 비료를 고를 때 보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이 잘 되어 있구요.
시간될 때 주말에 쭉~ 읽어보면 좋을 것 같네요.
1,2,3 권 목차 입니다. 참조하세요.
1 권 -흙 이야기
제1부 고서 속의 흙 이야기
고서 속의 흙 이야기
허준 같은 흙 의사
흙도 병원에 가고 싶어 해요
흙도 족보가 있다
손끝으로 흙을 진단하는 방법
토양시료 채취법
시비처방을 위한 토양시료 채취
흙토람을 이용한 토양정보
논이 줄면 여름이 덥다
제2부 우리 흙의 부모
우리 흙의 부모
판게아 이론과 우리 토양
우리 암석 바로 알기
우리 토양은 얼마나 늙었을까
화강암과 산성토양
우리 흙이 산성인 이유
표토는 보물
제주 흙의 기원은
제주 지하수가 좋은 이유는 토양 덕분
제주에 조랑말이 많은 것도 토양 때문
우리 흙이 유기농이 어려운 이유
제3부 흙 속의 삼형제
흙 속의 삼형제
흙의 공간에는 물이 어떻게 채워질까
점토는 작은 거인
토성은 점토, 미사, 모래의 비율
용적밀도란
숨을 쉬는 흙
밭작물은 산소를 좋아한다
밭을 갈면 토양에는 어떤 현상이
깊이갈이를 해야 벼에 좋은 이유
쟁기바닥층이란
불휘 기픈 남간 바라매 아니 뮐쌔
제4부 흙의 기본 지식
석회질비료가 떼알구조에 좋은 이유
떼알구조(입단)는 햅쌀로 지은 밥 같은 흙
바닷물이 짠 이유는 토양 때문
양이온치환용량 및 양분 보유능력 척도
염기포화도란
고령토란 무엇인가
제5부 흙과 뿌리의 물 줄다리기
토양과 수분
흙과 뿌리의 물 줄다리기
작물이 자라는데 적당한 토양수분
비, 얼마나 와야 가뭄 해소될까
비 내린 후 토양 수분 관리
농작물에 피해 주는 염류농도
생명력 잃어가는 고랭지 흙
제6부 토양은 모든 생물의 고향
미생물 수는 어떻게 표시할까
우리나라 흙은 미생물에 유리할까
미생물제제의 허와 실
공기질소를 먹고 사는 근류균
지렁아, 흙이 살았니 죽었니
지렁이는 흙 살림꾼
지렁이가 하는 일
제7부 산성토양은 왜 나쁠까
산성토양엔 비료를 많이 주어도 헛일
토양산도(pH)가 양분을 좌우한다
산성토양은 왜 나쁠까
비가 많이 오면 쉽게 산성토양이 된다
산성토양 개량의 원리
산성토양은 어떻게 개량될까(1)
산성토양은 어떻게 개량될까(2)
산성토양이 쉽게 개량되지 않는 이유
산성토양 개량의 초점은
특이산성토란
어떤 비료가 산성비료일까
산성비료와 염기성비료
논에 규산 적으면 벼 잘 쓰러져
농민신문사 신간 보도자료
제8부 식물이 좋아하는 양분
필수영양소란
근권이란 무엇인가
식물 양분의 기본
다량원소의 이동
양분은 식물체에서 어떻게 이동할까
양분은 토양에 많을까 식물체에 많을까
양분은 어떤 형태로 이용되나
뿌리는 어떻게 비료 성분을 흡수할까
양분은 잎을 통해 어떻게 흡수될까
미량원소 이동 원리와 액비 살포
2권 비료 이야기
제1부 비료에도 궁합이 있다
왜 토양마다 비료를 다르게 주어야 할까
왜 다량원소, 미량원소로 나누었을까
비료 성분량 계산법
비료 성분함량 보는 법
비료에도 궁합이 있다
비료도 균형이 맞아야 한다
비료를 배합하면 좋은 경우와 나쁜 경우
복합비료와 배합비료는 무엇이 다를까
완효성비료의 장점
농자재는 부품이다
친환경 유기농자재에는 어떤 것이 있나
광물질비료의 성분
경사가 다르면 비료도 다르게
뿌리의 양분흡수
알아두어야 할 비료 공정규격
제2부 고체, 액체, 기체로 변신하는 질소비료
질소는 어떤 형태로 흡수되나
질산화 억제 질소비료란
고체, 액체, 기체를 돌아다니는 질소(1)
고체, 액체, 기체를 돌아다니는 질소(2)
질소비료가 단백질이 되기까지
요소비료는 왜 속효성일까
질소비료를 나누어 주는 이유
변장에 능한 질소
질소비료를 웃거름으로 주어야 하는 이유
질소비료는 어떻게 만드나
제3부 인산비료 이해하기
인산비료의 종류와 특성
인산비료 제조과정과 차이
인산이 과잉이면 붕소가 결핍된다
인산 종류에 따라 맞춤비료 효과도 다르다
인산이 적은 비료를 써야 하는 이유
제4부 칼리비료 이해하기
칼리비료의 종류
염화칼리와 황산칼리의 차이
염류집적 줄이는 칼리비료 사용법
하우스토양의 말썽꾸러기 염류집적
제5부 다량원소 이해하기
석회가 부족하면 식물에는 어떤 현상이 나타날까
왜 석회비료는 먼저 주어야 하나
석회비료 종류 알기
석회비료를 주어야 하는 이유
질소·석회 섞어 쓰면 부작용
칼슘유황비료란 어떤 비료일까
밭작물엔 황이 든 비료가 보약
밭작물엔 황이 든 비료가 좋은 이유
엽록소와 헤모글로빈은 사촌 사이
붕소는 왜 필요할까
화학비료에 붕소가 있는 이유
석회, 고토, 황 함유 비료의 중요성
기능성 물질로서의 유황비료
제6부 유기질비료 이해하기
부숙이 안된 퇴비는 안 준 것만 못하다
가축분뇨에는 어떤 비료성분들이 있을까
유기질비료와 부산물비료 퇴비의 차이
좋은 유기질비료 고르는 법
팜유박과 야자유박을 유기질비료에 못 쓰는 이유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의 질소는 뭐가 다를까
제7부 부숙비료(부산물비료 퇴비) 이해하기
퇴비와 화학비료 성분량 계산하는 방법
퇴비 정부지원과 주의할 점
미부숙퇴비는 병원균의 온상
퇴비에도 등급이 있다
좋은 퇴비를 스스로 만드는 방법
무서운 불량 퇴비
물 많은 퇴비는 일단 의심을
옛날에는 퇴비를 어떻게 만들었을까
조상의 지혜 – 퇴비 만드는 법
포대에 구멍 뚫린 퇴비의 장점
우리나라 농경지는 청정해요
산업폐기물이 토양과 작물에 미치는 나쁜 영향
흙을 병들게 하는 폐비닐
농약은 토양에서 어떻게 움직이나
제8부 퇴비가 좋은 이유
퇴비는 국물이 보약
퇴비가 좋은 이유 - 흙을 부드럽게 하는 힘
퇴비가 좋은 이유 - 가뭄에 견디는 힘
퇴비가 좋은 이유 - 양분 용탈을 막는 힘
퇴비가 좋은 이유 - 미생물의 보금자리
퇴비가 좋은 이유 - 양분 유효도를 높이는 힘
퇴비가 좋은 이유 - 효소 배양체
퇴비가 좋은 이유 - 알루미늉 독성을 줄이는 힘
3권 흙과 비료 더하기
제1부 비료 보는 눈
달라진 비료 분류 방법
비료의 구분과 역할
비료는 어떤 양분 비율로 제조할까
무기질비료 포장지 보는 방법(1)
무기질비료 포장지 보는 방법(2)
포대 뒷면의 비료 생산업자 보증표를 보자
무기질과 유기질비료의 조화
제2부 무기질비료(복합비료)
복합비료 분류에 대한 기본상식
공기로 빵을 만들게 한 요소비료
비료 효과가 나타나는 속도의 차이는?
물에 녹는 비료, 안 녹는 비료
구용성, 가용성, 수용성 인산의 차이는?
수도용과 원예용 비료가 다른 이유
원예용 비료에 황이 꼭 필요한 이유
과일 당도를 높이려면 어떤 비료가 좋을까
작년에 시비한 비료도 쉽게 흡수될까
미래에는 어떤 비료가 인기가 있을까?
관비재배의 장점
빅뱅, 원소주기율표, 식물양분 이야기(아미노산의 탄생)
빅뱅, 원소주기율표, 식물양분 이야기(16개 필수원소)
제3부 미량요소, 영양제, 미네랄비료
미량요소복합비료 구입할 때 주의할 점
미량요소는 어떤 것이 중요할까
붕사, 붕산, 붕소의 차이는
영양제 보는 법
가루형과 병에 든 수용성 비료의 가격 차이는
병에 든 영양제를 고가에 구입하면 바보 농업인
미네랄 비료의 허상
제4부 유기질비료
혼합유박과 혼합유기질비료의 차이
퇴비와 유기질비료의 차이
유기질비료와 퇴비의 효과 방식이 다른 점
비싼 유기질비료와 싼 유기질비료 고르는 법
제5부 퇴비
적정한 퇴비 사용량은?
퇴비 제조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
퇴비도 많이 주면 이런 피해가
냄새나는 퇴비는 효과가 낮은 이유
퇴비에 적절한 톱밥 비율
퇴비제조에 사용하는 부자재와 첨가제 효과
석회, 인산질비료와 퇴비의 궁합
21복비와 퇴비의 양분 비교
제6부 퇴비차 제조하기
녹차 같은 퇴비차
유기농 퇴비차 만들기
퇴비차 칼슘제 만들기
쉽게 만드는 효과 좋은 퇴비차
제7부 엽면시비
엽면시비 농도는 얼마가 좋을까(1)
엽면시비 농도는 얼마가 좋을까(2)
엽면시비는 요소와 21복비 중에 어느 것이 좋을까?
칼슘 엽면시비가 필요한 이유
엽면시비용 붕소비료 쉽게 만들기
붕소 농도를 다르게 사용해야 하는 이유
제8부 산성토양 개량제
토양개량제 용도별 이해하기
석회질비료와 알칼리분
패화석 비료란
산성토양 개량하는 퇴비의 조건
석회질비료와 다른 비료 혼합할 때 주의할 점
제9부 염류집적
하우스 토양에 염류가 높아지는 원인
하우스에는 퇴비가 좋을까 유기질비료가 좋을까
하우스 토양의 염분과 염류집적의 차이
시설재배에서 토성과 염류 장해
염류집적에 퇴비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
녹비작물의 하우스 토양 제염 효과
염류집적을 시키는 무기질비료와 아닌 비료의 차이는
제10부 바닷물 이용
바닷물 이용 농법의 득과 실
바닷물과 요소 엽면시비 희석의 닮은 점
제11부 유기농자재
비료와 유기농자재의 차이
유기농을 시작할 때 유의할 점
유기농 복합비료 제조하기
구아노와 랑베나이트로 만드는 유기농 복합비료
제12부 미생물비료
원리를 알면 쉬운 미생물 발효 액비
농업기술센터 미생물의 효과가 큰 사용방법은?
농업기술센터 미생물이 좋은 이유
발효 미생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생선 발효 액비는 어떻게 만들어 사용할까?
1석 2조 불가사리 발효 액비
'대박농사'의 GCM 농법이란?
'대박농사'의 GCM 효과는 숫자와 대사산물 덕분
'대박농사'의 GCM은 어떻게 배양할까?
제13부 흙토람(토양검정)
스마트폰으로 토양검정결과 보기
토양검정결과 간편 해석(석회고토, 패화석 선택)
제14부 소소한 지식
가뭄이 해소되는 강우량
희석배수 쉽게 계산하기
볏짚을 사료로 팔면 득보다 실이 많다
농약과 비료를 혼합할 때의 주의할 점
우리나라 점토인 고령토 만들어지는 과정
한반도 토양의 유래와 낮은 비옥도
end.
'관련사이트,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용어사전 (0) | 2025.01.16 |
---|---|
(ebook) 농업기술길잡이 / 식물공장 (0) | 2025.01.05 |
(사이트 소개)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0) | 2024.12.13 |
(사이트 소개) 농업과학도서관 (2) | 2024.12.13 |
(사이트 소개) 농사로 (1) | 202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