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조. (농기술길잡이) 수경재배 > 제2장 작물별 수경재배 기술 > 8 엽채류 > 마. 생리 장애 p162

 

책에 엽채류의 주요 생리장애가 팁번이네요. ㅋ

 

1. 원인

- 고온기에 잎의 활발한 증상 작용에 비해 액온 상승에 의한 무기양분 흡수가 원할지 못해서 발생함.

- 칼슘의 흡수를 저해하는 높은 EC, 시설의 높은 습도

=> 칼슘 분해의 불균형을 일으켜 팁번 발생.

 

2. 대책

- pH를 5.5 ~ 6.5 범위 (=> 이상없음)

 

- EC는 1.2dS/m 이하로 관리 (600 ~ 840 ppm)

  => 기존농도가 800 정도여서, 기존 수치에서는 문제가 없었음. 현재 칼슘추가 후 농도 증가.

 

- 35% 이내의 차광을 해서 생육과 잎의 증상 작용을 억제함. (=> 빛을 높이거나, 광량을 줄이거나)

  => 집 실내온도는 23도로 엽채류에 약간 더운 상태임. 빛을 높이거나, 광량을 줄이거나 할 필요가 있음.

  => 일단, 왼쪽 수경재배기는 LED높이를 21cm 에서 3단봉 27.4cm 을 조정하고, 오른쪽 수경재배기는 LED높이를 4단봉 36.5 cm로 조정함.

  => 2단계 3단봉과 3단계 4단봉은 빛의 밝기가 거의 비슷하나, 혹시 LED열에 의한 영향도 고려하여 높이를 높여 광량을 줄이기로 했습니다. 팁번이 해결되면 LED를 줄이고 봉높이를 낮출 예정입니다.

ps. 다른 조건을 검토해도 결국은 실내 온도와 LED열이 문제 일듯 함.

LED밝기 단계 LED높이(cm) 수경재배기 구분 밝기(EV) 밝기(lux) 비고
3단계 21 왼쪽 재배기 11 5,120 기존밝기 - 20250106
3단계 (3단봉) 27.4 왼쪽 재배기 10.4 3,378 조정밝기 - 20250107
기존대비 광량 - 34% 줄임.
3단계 (4단봉) 36.5 왼쪽 재배기 10.0 2,560  
2단계 (3단봉) 27.4 왼쪽 재배기 10.1 2,744  
3단계 21 오른쪽 재배기 11 5,120 기존밝기  - 20250106
3단계 (3단봉) 27.4 오른쪽 재배기 10.3 3,152  
3단계 (4단봉) 36.5 오른쪽 재배기 9.8 2,229 조정밝기 - 20250107
기존대비 광량 - 56% 줄임.
2단계 (3단봉) 27.4 오른쪽 재배기 9.8 2,229  

 

end.

'생리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 갈변  (2) 2025.01.25
수경재배 양액의 pH염기성 변화  (0) 2025.01.25
뿌리섞음 (업데이트 2025-01-04)  (1) 2024.12.31
팁번 (바타비아, 상추, 앱채류)  (0) 2024.12.29
수경재배 양액의 산성화에 대해서  (2) 2024.12.25

 

 

바타비아에서 잎 끝이 까맣게 변하는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2024-12-29)

해당 현상을 "팁번 (Tip Burn)"이라고 합니다.

 

팁번이 발생하면, 2차적으로 박테리아가 조직에 침투해서 내부엽이 부패한 장해구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1. 원인

1) 원인은 주로 칼슘 결핍으로 인해서 발생하고, 

2) 칼슘 결핍증(석회 결핍증)의 원인은 건조, 다칼륨, 저온, 고온으로 흡수가 저해될 수 있다고 합니다.

3) 식물이 너무 빠르게 자라면 칼슘이 세 잎까지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2. 조치방안

1) 손상된 잎 제거

2) 칼슘 공급 강화

- 액제 칼슘제를 투입한다.

==> 1, 2) 번 일 수도 있으나 생장이 빠른 경우 일 수도 있어서 생장속도 조절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쿠팡에 찾아보니, 액제 칼슘이 있네요.

 

3. 예방방법

1) 칼슘이 포함된 양액이나 비료를 정기적으로 공급합니다.

2) 빠르게 자라는 품종의 경우 엽면 시비로 칼슘을 추가 보충합니다.

    ==> 칼슘을 추가해도, 팁번이 조금씩 계속 발생합니다. (2025-01-07 글 추가)

   결국 환경문제(LED열 또는 생장속도) 같아서, LED광원 높이를 조절하였습니다. (또는, 광량 조절 3단계 => 2단계 로)

   현재 모니터링 중입니다.

    ==> (2025-01-19 결과 업데이트)

    1) LED광원 높이를 21cm( 2단 반 정도)에서 3단 높이 36.5cm 로 조정 후에는 추가적인 팁번은 발생하고 있지 않습니다.

    2) TDS도 조금씩 낮추고는 있는데, 2025-01-05 ~ 20255-01-19 까지 데이터를 보면 TDS는 많이 내려가지 않았습니다.

    ps. 특이 사항은 LED를 높이기 전에는 양액이 산성화 되었는데 현재는 알카리성으로 조금씩 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조금씩 광량을 더 주도록 높이를 변경할 예정입니다.

 

1. 왼쪽 수경재배기(실내)
기존 재배중인 엽채류를 유지하고 있어요.

일자 시간 수위
(L)
TDS
(ppm)
pH농도 온도
(℃)
비고
2024-12-14 14 4.05 756 4.48 22.0  
2024-12-14 15 4.5 963 5.74 21.5 수위를 4.5L로 하고, 양액 a,b를 각각 5ml 씩 추가
2024-12-18 21 3.95 963 4.75 23.5  TDS 농도 양호 (800 ~ 900정도 맞추려함)
pH농도가 낮아지고 있음. => 확인필요
2024-12-18 22 4.5 1092 5.24 - 수위를 4.5L로 하고, 양액 a,b를 각각 5ml 씩 추가
2024-12-24 22 3.8 863 6.23 23.3 12/20 경에 물만 1L 보충. 수돗물ph(6.94(7.3)pH)
2024-12-24 23 4.5 918 6.38 21 물 0.7L추가. 양액 a,b는 3ml 추가 (농도유지)
1번 측정기 5.4*는 오류값으로 보임. 수돗물pH를 고려하면 수치값이 더 작을 수는 없음.
2025-01-05 21 4.5 1428 6.36 24 칼슘추가로 TDS값이 높게 측정됨.
다음엔 농도를 1200ppm 이하로 낮출 것.
2025-01-12 23 4.3 1284 6.6 23 모자라는 양액은 오른쪽 수경재배기에 있는 걸로 채웠습니다.
2025-01-16 23 3.9 1352 7.02 22.7 pH농도가 처음으로 증가함.
광량을 줄여서인지(2단 높이에 LED단계 2단계)
2025-01-16 23 4.5 1390 6.7 21.5 산도조절제를 사용해서 조절함
광량은 유지하고, LED 등 높이를 3단 높이로, LED단계 3단으로 조정함. 같은 광량이라도, 높은 곳에서 내리는게 빛을 골고루 받을 수 있을 것 같음.
2025-01-19 11 4.1 1318 6.7 23.5 ph유지중
2025-01-19 12 4.5 1284 6.7 23.2 양액보충 (양액 963ppm / 6.7pH / 23.2℃)

 

 

ps. 아래 팁번#2 번 글도 같이 읽어 주세요!!!

 

https://growingathome.tistory.com/52

 

팁번#2

참조. (농기술길잡이) 수경재배 > 제2장 작물별 수경재배 기술 > 8 엽채류 > 마. 생리 장애 p162 책에 엽채류의 주요 생리장애가 팁번이네요. ㅋ 1. 원인- 고온기에 잎의 활발한 증상 작용에 비해 액

growingathome.tistory.com

 

end.

 

 

팁번에 대한 대처방안에 대해서 ChatGpt에 질문했습니다.

 

팁번(Tip Burn)이 발생했을 때는 원인을 파악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 단계별로 해결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1. 이미 손상된 잎 제거

  • 팁번으로 손상된 잎은 복구되지 않으므로 잘라내 주세요.
  •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면 다른 병원균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칼슘 공급 강화

팁번은 주로 칼슘 부족에 의해 발생하므로 칼슘을 충분히 공급해야 합니다.

  • 방법 1: 칼슘 비료 사용
    • 칼슘 질산염(Ca(NO₃)₂) 같은 칼슘이 포함된 비료를 사용하세요.
    • 흙 재배라면 토양에 칼슘을 직접 추가하고, 수경재배라면 양액을 조정하세요.
  • 방법 2: 엽면 시비
    • 칼슘 스프레이를 잎에 뿌려 빠르게 칼슘을 보충합니다.
    • 약 2~3일 간격으로 스프레이를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3. 물 관리

  • 칼슘은 물과 함께 이동하므로 물 공급이 매우 중요합니다.
    • 물을 너무 많이 주거나 너무 적게 주지 마세요.
    • 일정한 수분을 유지하도록 노력하세요.
  • 배수 상태가 좋지 않다면 화분의 배수구를 점검하거나 배양토를 교체하세요.

4. 환경 조건 조절

팁번은 환경적 스트레스와도 관련이 있으므로 다음 사항을 관리하세요:

  • 온도: 15~25°C로 적정 온도를 유지하세요. 과도한 고온은 피해야 합니다. (▶ 검토)
  • 습도: 상대습도 50~70%를 유지하세요. 너무 건조하면 칼슘 이동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이상없음)
  • 환기: 공기 흐름을 좋게 하여 병원균 발생을 억제합니다.

5. 생장 속도 조절

  • 식물이 너무 빠르게 자라면 칼슘이 새 잎까지 도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건 생각 못한 건데.. ㅎㅎ)
    • 질소 비료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은 피하세요.
    • 질소와 칼륨이 많으면 칼슘 흡수가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6. 병충해 점검

  • 팁번은 생리적 문제지만, 손상된 잎에 병원균이 쉽게 침투할 수 있습니다.
    • 잎이나 뿌리를 점검하여 병이나 해충이 있다면 즉각 방제제를 사용하세요.

예방 팁

팁번은 발생 후 관리보다 예방이 더 효과적입니다:

  1. 칼슘이 포함된 양액이나 비료를 정기적으로 공급합니다.
  2. 물 주는 주기와 환경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3. 빠르게 자라는 품종의 경우 엽면 시비로 칼슘을 추가 보충합니다.

위 방법을 적용해 문제를 해결하고, 이후에도 꾸준히 환경을 관리하면 팁번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end.

 

 

'생리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 갈변  (2) 2025.01.25
수경재배 양액의 pH염기성 변화  (0) 2025.01.25
팁번#2  (1) 2025.01.07
뿌리섞음 (업데이트 2025-01-04)  (1) 2024.12.31
수경재배 양액의 산성화에 대해서  (2) 2024.12.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