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길잡이 / 부추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b/psbx/cropEbookLst.ps?menuId=PS65290&sText=&pageIndex=1&pageSize=10&sKeyword=&sNameOrderAt=Y&group2Cnt=&cropEbookGubunChk=&sStdPrdlstCode=&sStdTchnlgyCode=&stdPrdlstCode=&sRdaStdPrdlstCode=&sRdaStdTchnlgyCode=&kidofcomdtyNo=0&sOldDtShowAt=N&sSearchText=&sSearchType=srchType02&cNo=61&stdItemCd=VC021010&cropsEbookNm=%EB%B6%80%EC%B6%94#

 

농업기술길잡이 | 농사로

농업기술길잡이 목차 번호, 목차, 페이지

www.nongsaro.go.kr

 

 

Chapter 1 재배내력 및 영양적 가지

02. 영양적 가치 및 효능

가. 영양적 가치

  • 부추는 단백질, 지질, 회분, 섬유질, 카로틴, 비타민 B2, 비타민 C, 칼슘, 철 등의 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녹색 채소이다.

나. 효능

  • 마늘, 양파 등에 들어있는 황화합물이 결장암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 일본의 과학자들은 식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합물이 과산화지질에 대하여 강력한 항산화물로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 부추의 독특한 냅새의 성분인 황화아릴은 몸에 흡수되면 자율신경을 자극하여 에너지 대사를 높인다. 즉 부추를 먹으면 몸이 따뜻해지는 것이 이 때문이다.
  • β-카로틴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데, β-카로틴의 역할은 항암효과가 크다는 사실이 입증된 바 있다.
  • 부추에는 비타민 B1, B2 및 C 등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 부추는 무기질이 풍부하며, 특히 칼슘과 철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Chapter 2 형태적.생리적 특징

01 형태적 특징

02 생리적 특징

가. 번식(가지치기)

  • 부추의 번식은 포기나누기로 가능하나 주로 종자번식을 하며, 봄부터 가을에 걸쳐 생장하나 한여름에는 고온으로 일시적인 쇠퇴를 한다.
  • 주년재배로 3~4년 재배가 가능하며, 혹한기를 제외한 연중재배가 가능한다.
  • 부추는 파류 중에서도 분얼력이 강하여 생육기에는 분얼력이 왕성해져 분얼에 의해 주수가 증가하므로 종자를 파종하는 것보다 주로 분주에 의하여 증식한다.
  • 부추의 분얼력은 봄에 파종한 대엽종은 7월 중순부터 시작하여 가을까지 한 개체 평균 23.6주를 가지치기하며 발생엽수는 약 50.5엽이 생긴다.

나. 휴면

  • 부추는 내서성(耐暑性)이 강하여 봄부터 가을까지 생육을 계속하다가 단일과 저온 조건인 10월 하순 이후에 휴면에 들어간다.

다. 화아분화

  • 부추는 고온, 장일하에서 6월 상, 중순부터 화아분화를 일으켜 7~8월에 30cm 이상의 화경이 추대하여 개화된다.
  • 종자채종을 하지 않을 경우 수시로 꽃대를 제거시킨다.

Chapter 3 품종 및 재배환경

01 품종육종

02 품종별 특성

03 알맞은 재배환경

가. 토양

  • pH는 6.0 ~ 6.5의 중성토양에서 가장 생육이 왕성하다.

나. 온도

  • 부추종자의 발아온도는 20℃ 전후이며, 10℃이하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고, 25℃이상 시 발아일수가 짧아지나 발아율이 낮다.
  • 생육적온은 18 ~ 20℃로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좋아한다.
  • 5℃이하에는 생육이 정지되고,
  • 25℃이상에서는 잎의 신장은 왕성하나 잎이 가늘고, 생육 부진으로 섬유질이 많고 발생 엽 수도 적다.
  • 추위와 더위에 강하여 30℃까지 생육이 되고, 영향 6~10℃에서 지상부의 잎은 죽으나 땅 속의 뿌리줄기는 영하 40℃에서도 견딘다.
  • 30℃이상에서는 생육이 완만하고 그 이상이 되면 잎 끝이 꾸부러지면서 잎이 황백색으로 타게 된다.
  • 분얼온도는 16~23℃에서 왕성하며,
  • 고온에서 자란 잎은 섬유질이 많고 질기며 생장인 불량한 관계로 품질이 좋지 않다.

다. 광도

  • 광의 조건은 적용범위가 2,400 ~ 40,000 Lux에서 재배가능하며 너무 강한 광선에서는 섬유질이 많아지고 향기가 적어져서 품질이 떨어진다.
  • 약한 광에서는 탄수화물 축적과 향기가 적어지게 되어 세력이 나빠지고 수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너무 많은 차광은 좋지 않다.

라. 수분

  • 수분조건은 충분한 양의 수분을 요구하며, 부족 시 섬유질이 많아진다.
  • 부추는 양분과 수분의 흡수력이 매우 강하므로 건조에 매우 민감하다. 토양습도는 80% 전후로 토양수분이 많아야 생장도 원활하고 잎이 부드러워진다.
  • 건조하면 상대적으로 생장이 둔화하고 섬유질이 많아진다.
  • 장마기에는 배수를 철저히 하여야 하고 침수와 과습은 식물체를 썩어버리게 한다.

Chapter 4 안전재배기술

01 재배작형

  • 부추의 작형은 크게 노지재배, 시설재배로 나뉜다.
  • 노지재배는 이식재배와 직파재배로 나뉘며, 4월부터 10월까지 수확이 가능하지만 대체적으로 수확시기는 4~6월에 봄베기, 7~8월의 여름베기, 9~10월의 가을베기로 나뉘며 보통 4~5회 수확한다.

02 노지재배

03 시설재배 기술

  • 하우스재배

Chapter 5 병해충 및 생리장해

Chapter 6 수확 및 이용

 

end.

농업기술길잡이 / 잎들깨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b/psbx/cropEbookLst.ps?menuId=PS65290&sText=&pageIndex=1&pageSize=10&sKeyword=&sNameOrderAt=Y&group2Cnt=&cropEbookGubunChk=&sStdPrdlstCode=&sStdTchnlgyCode=&stdPrdlstCode=&sRdaStdPrdlstCode=&sRdaStdTchnlgyCode=&kidofcomdtyNo=0&sOldDtShowAt=N&sSearchText=&sSearchType=srchType02&cNo=109&stdItemCd=IC011602&cropsEbookNm=%EC%9E%8E%EB%93%A4%EA%B9%A8#

 

농업기술길잡이 | 농사로

농업기술길잡이 목차 번호, 목차, 페이지

www.nongsaro.go.kr

 

요약 정보

제 2장 생육 및 작물학적 특성

1. 형태적 특성

2. 환경과 생육

  1. 들깨의 적정 생육환경
    • 생육온도가 10~15℃ 사이에서는 광합성 속도가 거의 변화가 없고,
      20℃에서 최대에 이르며,
      25℃이상의 온도에서는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 생육적은은 20℃ 전후로 벼, 옥수수 등 다른 작물에 비해 낮으며, 온도에 대한 반응도 매우 둔감한 반면,
    • 광량에는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여 약 5,000 lux인 광보상점으로 부터 광포화점인 120,000 lux 까지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광합성 속도가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한여름의 고온기에 일사량이 많은 환경에서도 높은 생장속도를 유지한다.
    • 들깨의 평균 생육기간은 130일로서 적산온도 2,860℃, 강수량 625mm, 일조사긴 772시간 내외가 적정한 생육환경이다.
구분 발아적온 발아최저온도 생육적온 생육최저온도 개화한계일장
적정환경 15~20℃ 15~20℃ 20~30℃ 5℃ 15시간
  1. 일장
    • 개화한계일장은 15시간
  2. 수분
    • 내건성이 강해서 가뭄이 심해도 생육에 큰 장해를 받지 않는다.
    • 가품이 심해도 생육에 큰 장해를 받지 않아 예부터 경제작물의 파종이 곤란할 때 대파작물(代播作物)로 많이 이용됐다.
    • 타 작물보다 수분요구가 적어 지나치게 습한 경우 도장하기 쉽고 결실이 불량하게 되어 품질이 떨어지므로 생육 중에는 배수에 유의해야 한다.
  3. 토양
    • 들깨는 측박한 환경에도 재배적응력이 높으나,
    • 지나치게 습하거나 비옥한 토양에서는 결실불량 또는 지나친 영양생장으로 쓰러지기 쉬우므로 배수가 비교적 잘 되는 사지양토가 적합한 토양이다.

제 3장 재배기술

시설하우스 재배

  1. 온도 및 수분관리
    • 저온 장해는 3℃에서 8시간 0℃에서 4시간 이상일 경우 저온 장해를 받을 수 있다.
    • 야간은 15℃까지 높을 수록 생육이 양호하나 10~15℃ 사이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으며 최저 7℃를 유지해주는 것이 유리하다.
    • 주간 온도가 25℃ 이상 올라갈 경우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좋다.
  2. 전등조명 재배기술
    • 들깨는 단일조건 하에서 꽃눈분화가 촉진되는 전형적인 단일성 작물이다.
      • 장일식물: 하루의 일조시간이 일정시간(12~14시간) 이상되지 않으며 꽃눈을 형성하지 않는 식물
      • 단일식물: 보통 탖이 12시간 이하로 짧아지면 꽃을 피우는 식물(낮의 길이가 짧을 때 꽃이 피는 식물)
    • 잎들깨 겨울 시설재배 시 꽃눈분화를 억제하고 품질 좋은 잎을 생산하기 위하여 야간조명을 실시하여야 한다.
    • 잎들깨 시설재배 시 가을부터 초봄까지는 일장이 짧아 야간조명이 필요하며, 봄철 일장이 길어지고 채엽 종료시점이 가까워짐에 따라 야간조명을 계속할 필요가 없는 시기다.
    • 잎들깨 재배 시 야간조명을 중단하면 식물체가 일장을 감응하여 꽃눈이 분화되기 시작하고 약 1개월 후에는 화뢰(華蕾 : 꽃봉우리)가 출현하고 개화가 시작한다.
      따라서 야간조명을 중단하여도 약 1 개월 정도는 잎을 계속 수확할 수 있다.
      • 조명개시시기: 본옆 3매 출연시 (일장감응시기는 본옆 3엽기임)
      • 일반조명시간: 밤12시부터 2시간 조명(일장이 15시간 이상 되도록 조명)
      • 조명광도: 25 lux 이상
      • 간단조명시간: 55분조명 15분 암상태, 8시부터 아침 4시까지 반복조명
      • 조명중단시기: 8월20일부터 ~ 이듬해 5월 1일 까지

 

end.

 

수경재배에 대한 전반적이고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작물별 수경재배 기술도 제공합니다.

 

1. 펴낸날 : 2021년 12월 17일 (개정4판)

2. ebook 보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b/psbx/cropEbookLst.ps?menuId=PS65290&sText=&pageIndex=1&pageSize=10&sKeyword=&sNameOrderAt=Y&group2Cnt=&cropEbookGubunChk=&sStdPrdlstCode=&sStdTchnlgyCode=&stdPrdlstCode=&sRdaStdPrdlstCode=&sRdaStdTchnlgyCode=&kidofcomdtyNo=0&sOldDtShowAt=N&sSearchText=&sSearchType=srchType02&cNo=143&stdItemCd=AE04AE46&cropsEbookNm=%EC%88%98%EA%B2%BD%EC%9E%AC%EB%B0%B0#

 

 

#목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