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도조절제 사용 후기입니다. (2024-11-27)

 

영액 산도가 너무 높아서, 쿠팡에서 pH조절제를 주문했습니다.

(2024-12-25 내용 업데이트

 - 모종에서 생장단계가 되면 양액이 산성화되므로 구매하지 않아도 됩니다. 저도 처음 양액만들 때만 사용했어요.

 - 특별한 식물인 경우에만 나중에 구매하셔도 됩니다.)

 

 

원재료 표시는 없습니다.

희석방법도 아래와 같이 간단합니다. 저렇게 섞으면 어떻게 된다는 것도 없고... 

디자인만 신뢰가 가고 사용법은 신뢰가 안 가네요. ㅋ

(물 20L에(산도7) + 본제품 6ml  = 대략 어느 정도 떨어지고, 정확한 값은 측정하면서 하라~ 이렇게 해야 하는 게 아닌지)

 

 

일단, 사용하는 수경재배기의 수중펌프 on/off를 건드리면 타이머 주기가 변경되므로, (해당 모델의 단점 입니다.)

다행히 수주펌프 전원선이 유지보수가 쉽게 뽑을 수 있게 되어 있어서 뽑았습니다.

 

그리고, 물통에 양액을 자바라 펌프로 뽑았습니다. 현재 산도를 측정합니다. (현재 산도 7.83)

 

그리고, 전자저울을 이용해서 1ml씩 첨가하며, 산도를 6.0 pH 정도로 조정했습니다.

(이전 산도 7.83 ▶ 조정 산도 5.96)

 

 

물통에 있는 양액을 수경재배기로 넣어줬습니다.

마지막으로, 수중펌프를 다시 연결해 주었습니다.

 

다행히 잘 끝났네요.

 

 

ps. 사용한 도구들 (왼쪽부터: 산도측정기(TDS, pH,...), pH페이퍼(오른쪽 추천), 정밀저울, 물통과 자바라 펌프

 

 

 

 

ChatGpt를 활용하여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식물 사이의 거리 두기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식물 사이의 적절한 거리를 설정하는 것은 수경재배나 일반 토양 재배에서 식물의 건강한 성장과 최적의 수확량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식물 간 거리(Plant Spacing)는 작물의 크기, 성장 형태, 광 요구량, 뿌리 발달, 및 재배 시스템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식물 간 거리의 중요성

적절한 식물 간 거리를 확보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1) 광 투과율 향상: 모든 식물이 충분한 빛을 받아 광합성이 최대화됩니다.

2) 통풍 개선: 공기 순환이 원활해져 병충해 발생 가능성을 줄입니다.

3) 뿌리 공간 확보: 뿌리 간 경쟁이 줄어들어 양분 흡수가 최적화됩니다.

4) 생장 스트레스 감소: 서로 간섭하지 않아 각 식물이 고유한 성장 패턴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작물별 적정 거리

식물 간 거리는 작물의 종류와 재배 방식에 따라 다릅니다. 상추와 같은 잎채소, 토마토 같은 열매채소, 허브 등 주요 작물별로 일반적인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잎채소

  • 상추, 케일, 시금치 등:
    • 거리: 15~25cm (5~10인치)
    • 특징: 공간 확보보다는 빛과 공기 흐름이 중요. 빠른 성장과 수확.

2) 열매채소

  • 토마토, 고추, 가지 등:
    • 거리: 30~60cm (12~24인치)
    • 특징: 큰 뿌리 시스템과 많은 광이 필요하므로 넓은 간격 필요.

3) 뿌리채소

  • 당근, 비트 등:
    • 거리: 10~20cm (4~8인치)
    • 특징: 뿌리가 확장될 충분한 공간 필요.
  • 무:
    • 작은품종(알타리 등) : 10 ~ 15cm
    • 중간 크기 품종 : 10 ~ 20cm
    • 큰 품종(일반무): 20 ~ 30cm

4) 허브

  • 바질, 민트, 파슬리 등:
    • 거리: 15~20cm (6~8인치)
    • 특징: 크기가 작아 밀식 재배 가능.

3. 수경재배에서 식물 간 거리

수경재배에서는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작물의 성장 속도와 형태를 고려한 배치가 필요합니다.

1) NFT 시스템 (Nutrient Film Technique):

  • 상추, 허브 등 작은 작물:
    • 거리: 15~20cm
    • 성장 높이가 낮고 뿌리가 작아 밀도 높은 배치 가능.
  • 토마토, 오이 등 큰 작물:
    • 거리: 30~50cm
    • 충분한 공간 확보로 뿌리 발달을 지원.

2) DWC 시스템 (Deep Water Culture):

  • 상추, 허브 등 작은 작물:
    • 거리: 20~30cm
    • 뿌리 간 엉킴 방지를 위해 약간 더 넓게 배치.
  • 큰 작물:
    • 거리: 40~60cm
    • 뿌리와 잎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 확보.

4. 밀집 재배 시 문제점과 해결

문제점:

  • 뿌리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않음 (얇고 꼬이거나 비정상적인 모양).
  • 잎이 서로 가려 빛 부족으로 성장 지연.
  • 뿌리 사이에서 병원균 번식 위험 증가.

해결 방법:

  • 초기 재배 시 좁은 간격(예: 10~15cm)으로 밀집 재배 후, 솎아내기(간격 조절)를 통해 생존한 식물만 남김.
  • 충분한 빛과 통풍을 위해 수직 공간 활용.

5. 식물 간 거리 최적화 팁

  1. 작물의 성숙 크기 고려:
    • 성숙 시 잎과 뿌리가 확장될 크기를 기준으로 거리 설정.
  2. 광 분포 확인:
    • 광원이 모든 식물에 균일하게 도달하도록 배치.
  3. 시즌별 거리 조정:
    • 성장 속도가 느린 겨울철에는 약간 밀집, 빠른 여름철에는 넓은 간격.
  4. 병해충 관리:
    • 밀식으로 인해 병충해 발생이 쉬운 환경을 피하기 위해 통풍 공간 확보.

6. 수경재배에서 조밀한 배치 방법

1) 단계별 이식:

    • 초기 단계에서 밀집 재배 후, 성장에 따라 이식하면서 간격 확대.

2) 수직 재배:

    • 수직 공간을 활용해 거리를 좁히고 층별로 배치.

3) 줄 간격 활용:

    • 줄 간 거리를 조금 더 넓게(20~30cm 이상) 설정하여 통풍 확보.

7. 예제

NFT 시스템에서 상추 재배:

  • 초기 심기: 15cm 간격.
  • 성장 중간 단계: 밀집 배치에서 20~25cm로 간격 확장.
  • 성숙 단계: 간격 25~30cm 확보.

8. 요약

  • 작물별로 권장 간격(15~60cm)을 기준으로 조정합니다.
  • 수경재배에서는 작물 특성과 성장 단계를 고려한 밀도 조절이 필요합니다.
  • 빛, 공기, 물 순환이 효율적으로 유지되도록 간격을 설정하세요.

 

 

 

작물별 적정 거리를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작물별 적정 거리 표

아래는 일반적인 작물의 재배 방식과 크기별로 적정 식물 간 거리와 줄 간 거리를 정리한 표입니다. 이 표는 수경재배와 토양재배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재배 환경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작물 종류
재배 방식
식물 간 거리 (cm)
줄 간 거리 (cm)
잎채소
 
 
 
상추
수경/NFT/DWC
15~20
20~25
케일
수경/DWC
20~30
25~30
시금치
수경/NFT
10~15
20
청경채
수경/DWC
15~20
20~25
------------------
----------------
----------------
----------------
열매채소
 
 
 
토마토
토양/수경
30~60
50~80
고추
토양/수경
30~40
40~50
가지
토양/수경
40~60
50~70
오이
토양/수경
30~50
50~70
------------------
----------------
----------------
----------------
뿌리채소
 
 
 
토양/DWC
10~30
20~40
당근
토양/DWC
5~10
15~20
비트
토양/DWC
10~20
20~30
감자
토양
30~40
50~70
------------------
----------------
----------------
----------------
허브
 
 
 
바질
수경/NFT
15~20
20~25
민트
수경/NFT
10~15
20
파슬리
수경/NFT
10~15
20~25
로즈마리
토양/수경
30~40
40~50

 


표 해석 및 활용 팁

  1. 식물 간 거리:
    • 식물 간 거리는 옆으로 확장하는 잎이나 뿌리의 크기를 기준으로 설정합니다.
    • 잎채소(상추, 시금치)는 비교적 작은 거리로 재배 가능.
    • 열매채소(토마토, 가지)는 더 큰 공간이 필요.
  2. 줄 간 거리:
    • 줄 간 거리는 통풍, 작업 공간, 빛 분포를 고려하여 더 넓게 설정.
    • 뿌리채소의 경우 줄 간 간격을 넓히면 작업 편의성이 증가.
  3. 재배 방식 차이:
    • 수경재배(NFT, DWC)는 물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하므로 간격을 좁힐 수 있지만, 통풍과 뿌리 공간을 고려해야 함.
    • 토양재배는 뿌리 경쟁과 물리적 공간 제한으로 인해 더 넓은 간격 필요.

추가 조정이 필요한 경우

  • 작물의 품종, 성장 단계, 기후, 재배 목적(밀식 재배 vs. 고품질 수확)에 따라 거리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식물 간 거리의 정확한 측정 기준에 대해서

 

식물 간 거리(Plant Spacing)의 기준은 식물 중심(뿌리가 시작되는 위치 또는 줄기 중심)에서 옆의 식물 중심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식물이 심어진 위치의 기준점(뿌리 혹은 줄기 중심) 간의 직선 거리입니다. 이 거리는 작물의 잎이 확장되는 범위, 뿌리가 차지하는 공간, 통풍 요구 등을 고려해 설정됩니다.


1. 식물 간 거리 측정 기준

토양 재배:

    • 심는 위치의 중심에서 다음 식물의 중심까지를 측정합니다.
    • 예: 무의 경우, 각 씨앗을 심은 지점 간의 거리.
    • 상추처럼 줄기 중심이 뚜렷한 식물은 줄기에서 줄기까지의 거리.

수경 재배:

    • 재배 구멍(Planting Hole) 간의 거리로 측정합니다.
    • NFT 시스템: 배양액이 흐르는 채널 위의 재배 구멍 간 거리.
    • DWC 시스템: 플로트(뜬 판)에 뚫린 구멍 중심 간 거리.

2. 줄 간 거리의 기준

    • 줄 간 거리(Row Spacing)는 한 줄의 식물 중심선과 다음 줄 중심선 사이의 거리입니다.
    • 줄 간 거리는 작업 공간 확보통풍을 위해 더 넓게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예시

1) 상추

    • 식물 간 거리: 상추 하나의 줄기 중심에서 옆의 상추 줄기 중심까지의 거리.
    • 줄 간 거리: 상추가 심어진 줄의 중심선에서 다음 줄 중심선까지의 거리.

2) 무

    • 식물 간 거리: 심어진 씨앗의 중심 간 거리.
    • 줄 간 거리: 무가 심어진 줄 사이 간격.

3) NFT 시스템

    • 식물 간 거리: 재배 채널의 구멍 중심 간 거리.
    • 줄 간 거리: 하나의 채널에서 옆 채널까지의 간격.

4. 시각적 이해

식물 간 거리와 줄 간 거리의 기준은 아래처럼 생각하면 됩니다:

○-----○-----○ ← 식물 간 거리 (중심 간 거리)

↕ ↕ ↕

○-----○-----○ ← 다음 줄의 중심 (줄 간 거리)


5. 실전 팁

    • 작물 크기 고려: 성숙 시 식물의 잎과 뿌리가 확장되는 크기를 기준으로 거리 설정.
    • 통풍과 광 요구량: 식물 간 거리를 좁히면 통풍과 광량이 줄어들므로 조밀 재배 시 관리가 필요.
    • 재배 목적: 고품질 작물을 위해 간격을 넓게 설정하거나, 생산성을 위해 밀식 재배.

 

end.

 

 

 

ps. 이번에 구매한 자동 수경재배기 경우, 식물 간 거리가 좁은 경우는 57mm, 넓은 경우는 77mm 정도 되네요.

일부러 거리를 균등하지 않게 만든것 같기도 합니다.

 

만약 위 거리 두기를 적용한다면 재배기에서 몇몇 포트를 건너뛰어야할 것 같습니다.

마침 구매한 자동 수경재배기에도 포트 뚜겅이 5개 포함되어 있네요. (사진에서 5번 - Filling cover*5)

 

 

 

 

수경재배기 경우 제일 먼저 고장나는 부분이 수중펌프이고, 수중펌프가 고장나면 보통 새제품으로 교환이 필요합니다.

2년 이상이 넘어가면 준비를 해야하는 것 같네요.

 

그래서, 궁금했습니다. 수중펌프를 어떤걸 구입해야 하는지?

몇몇 제품을 찾아보면 L/h 단위를 사용하는데 용량이 종류가 많아서 햇가리네요.

 

현재 수경재배기는 max 4.5L 에, 수중펌프 용량은 130L/h 입니다.

 

아래 내용을 참조하면,

4.5 x 5 회 = 22.5 L/h

4.5 x 10회 = 45 L/h

 

TDS 1000pm 조정 계수 1.5 적용 하면

4.5 x 5 회 x 1.5 ≒ 33.75 L/h

4.5 x 10회 x 1.5 ≒ 67.5 L/h (현재 펌프는 최대 용량의 2배 정도 성능 이네요)

 

실제 용량은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DO) 측정 장비가 있어야 할 것 같네요.

 

그리고, aliexpress.com 경우 DC24V 수중펌프 구하기가 쉽지 않네요. 적당한 모델이 하나 있는데 $6에 배송비 $3 정도 입니다.

수중재배기를 $20에 구매했는데, 거의 $9이 넘으니... 고민입니다.

 

 

 

아래는 ChatGpt를 활용하여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수경재배에 필요한 수중펌프의 적정유량은?

 

 

수경재배에서 권장 유량 계산은 물의 체적과 순환 빈도에 기반합니다. 이는 시스템의 물 흐름을 최적화하고, 식물의 뿌리 주변에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권장 유량 계산 기본 원칙

유량은 다음 식을 사용해 계산합니다:

 

권장 유량 (L/h) = 물의 체적 (L) × 순환 빈도 (회/h)

 

  • 물의 체적 (L):
    •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물의 양. 예: 5L.
  • 순환 빈도 (회/h): 1시간에 물 전체가 몇 번 순환해야 하는지를 나타냄.
    • 기본적으로 물 전체가 2~5회/h 순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순환 빈도는 시스템 유형, 작물의 산소 요구량, 물의 크기에 따라 조정됩니다.

1. 작은 용기 (5L 이하)에서의 계산

작은 수경재배 시스템에서는 물의 체적이 작기 때문에 빠르고 균일한 순환이 필요합니다.

  • 예제:
    • 물의 체적: 5L
    • 순환 빈도: 4회/h (작은 용기의 권장 순환 빈도)
      • 권장 유량=5(L)×4(회/h)=20(L/h)
  • 결과: 최소 20 L/h 이상의 펌프가 필요합니다.

 

2. 중간 크기 용기 (10~50L)에서의 계산

용량이 커질수록 순환 빈도를 조금 낮춰도 충분히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예제:
    • 물의 체적: 30L
    • 순환 빈도: 2회/h (중간 크기의 권장 순환 빈도)
      • 권장 유량=30(L)×2(회/h)=60(L/h)
  • 결과: 최소 60 L/h 이상의 펌프가 적합합니다.

 

3. 큰 시스템 (100L 이상)에서의 계산

대형 수경재배 시스템에서는 물의 체적이 크기 때문에 순환 빈도를 더 낮춰도 충분한 순환이 이루어집니다.

  • 예제:
    • 물의 체적: 200L
    • 순환 빈도: 1.5회/h
      • 권장 유량=200(L)×1.5(회/h)=300(L/h)
  • 결과: 최소 300 L/h의 유량을 제공하는 펌프가 필요합니다.

순환 빈도 설정 기준

 

작은 순환 빈도 (2회/h):

    • 용량이 크거나 안정적인 환경에서 적합.
    • 산소 및 영양소가 이미 충분히 공급되고 뿌리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환경.

중간 순환 빈도 (3~4회/h):

    • 일반적인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적합.
    • 균일한 산소 공급 및 물의 신선도를 유지.

높은 순환 빈도 (5~10회/h):

    • 용량이 작고 산소 공급이 매우 중요한 시스템.
    • NFT(영양막 기술)나 작물의 산소 요구량이 높은 경우.

추가 요소 고려

  1. 펌프의 실제 유량:
    • 펌프는 사용 환경(헤드 높이, 배관 저항 등)에 따라 실제 유량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펌프 스펙에서 유량(Flow rate)과 헤드 높이(Head height)를 확인해 필요 유량을 초과하는 모델을 선택하세요.
  2. 시스템 구조:
    • 복잡한 관로가 많을수록 유량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약간 더 높은 유량의 펌프를 선택하세요.
  3. 펌프 조절 기능:
    • 유량 조절이 가능한 펌프를 사용하면 과도한 흐름을 줄이고 식물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요약

  • 5L 물 기준: 20~40 L/h의 유량 펌프 권장.
  • 계산식:
    • 권장 유량=물의 체적 (L)×순환 빈도 (회/h)
  • 물의 용량, 작물 요구 사항, 시스템 구조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세요!

 

 

그리고, TDS 로 인해서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DO) 수치가 영향을 받을 것 같아, 계산을 다시 요청했습니다.

 

 

상추류(Lettuce)는 수경재배에서 비교적 낮은 TDS 범위를 요구하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상추의 민감성과 성장 특성에 맞춘 양액 조성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기반으로 TDS와 수중펌프 조정 계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상추류의 TDS 범위

상추류에 적합한 TDS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장 단계
권장 TDS 범위 (ppm)
발아 및 초기 생장기
400~600
생장기
600~800
수확 직전 성숙기
800~1000
  • TDS 400~1000 ppm 사이에서 상추는 건강하게 성장합니다.
  • 너무 낮은 TDS: 영양소 부족.
  • 너무 높은 TDS: 삼투압 스트레스로 인해 뿌리 흡수 저하.

2. TDS에 따른 수중펌프 유량 조정 계수

TDS가 높아지면 산소 용해도 감소와 DO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수중펌프의 유량을 조정해야 합니다.

조정 계수 설정

TDS 범위별로 다음과 같은 조정 계수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TDS 범위 (ppm)
조정 계수
0~500
1.0 (기본값)
500~800
1.1~1.2
800~1000
1.2~1.3
1000 이상
1.3~1.5
  • 조정 계수의 원리:
  • TDS가 높아지면 펌프 유량을 증가시켜 물의 순환 빈도를 늘리고 산소 교환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3. 예제: 상추 재배 시스템에서 수중펌프 유량 계산

조건:

  • 물의 용량: 5L
  • TDS: 800 ppm
  • 기본 유량 계산식:
    • 유량 (L/h)=물의 체적 (L)×순환 빈도 (회/h)=5L×4회/h=20L/h

조정 유량 계산:

  • TDS 800 ppm에 대한 조정 계수: 1.2
  • 조정된 유량:
    • 조정 유량=20L/h×1.2=24L/h

4. 상추 재배의 권장 조치

  1. 수중펌프 유량 설정:
    • 5L 물에서 TDS가 800 ppm일 경우 24 L/h 이상의 유량을 제공하는 펌프를 선택.
  2. 기포기 추가 사용:
    • TDS가 800 ppm 이상인 경우, 기포기를 추가하여 DO를 보완하는 것이 좋습니다.
  3. DO와 TDS의 실시간 모니터링:
    • DO가 5~8 mg/L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
    • TDS가 권장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양액 농도를 조정.

5. 요약

  • 상추 재배의 TDS 범위: 400~1000 ppm.
  • TDS에 따른 펌프 조정 계수: TDS 800 ppm → 조정 계수 1.2.
  • 5L 물 기준: 기본 유량 20 L/h → 조정 유량 24 L/h 이상.

 

 

end.

 

 

ChatGpt를 활용하여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수경재배에 필요한 용존산소량은?

 

수경재배에서 필요한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DO)은 작물의 종류, 성장 단계, 온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따릅니다:


수경재배의 적정 용존산소량

 

  1. 기본 권장량:
    • 4~8 mg/L: 대부분의 수경재배 작물은 이 범위의 용존산소 농도에서 잘 자랍니다.
    • 4 mg/L: 최소 생존 가능한 용존산소 수준.
    • 6~8 mg/L: 최적 성장 조건으로 간주됩니다.

 

2. 작물별 필요량:

    • 고산소 요구 작물: 상추, 시금치, 딸기 등은 용존산소 농도가 6~8 mg/L 이상이어야 빠른 성장과 건강한 뿌리 발달을 보입니다.
    • 저산소 내성 작물: 토마토, 오이 등은 4~6 mg/L로도 생장이 가능하지만, 최적 성장은 6 mg/L 이상에서 이루어집니다.

 

3. 뿌리 상태에 따른 필요량:

    • 건강한 뿌리는 산소를 효율적으로 흡수하며 낮은 산소 농도에서도 버틸 수 있습니다.
    • 병든 뿌리는 산소 요구량이 증가하며, 최소 6 mg/L 이상의 용존산소가 필요합니다.

온도와 용존산소의 관계

수온이 높아지면 물의 산소 용해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수온 관리가 중요합니다:

  • 최적 수온: 18~22°C
    • 이 범위에서 물은 충분한 산소를 유지하며, 뿌리의 산소 흡수 효율이 높습니다.
  • 수온이 높아질 경우 (25°C 이상):
    • 물에 용해될 수 있는 산소량이 줄어듭니다.
    • 산소 주입 장치(기포기, 수중펌프)나 냉각기를 사용하여 산소 농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산소 부족의 영향

용존산소 농도가 3 mg/L 이하로 떨어지면 뿌리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 호흡 부족: 뿌리가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해 에너지 생산이 줄어듭니다.
  • 질병 증가: 혐기성 세균(예: 뿌리썩이병)이 활발히 활동합니다.
  • 성장 저하: 뿌리와 작물의 전반적인 생장이 둔화됩니다.

산소 농도 유지 방법

  1. 기포기 사용: 물에 공기를 주입하여 용존산소 농도를 증가시킵니다.
  2. 수중펌프 활용: 물을 순환시켜 산소 공급을 보조합니다.
  3. 냉각기 설치: 수온을 낮추어 산소 용해도를 높입니다.
  4. 주기적인 물 교체: 신선한 물로 용존산소 농도를 유지합니다.

결론

수경재배에서 일반적으로 필요한 용존산소량은 6~8 mg/L이며, 이는 작물 성장과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용존산소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온도 관리와 적절한 장비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용존산소량과 TDS(총용존고형물)의 관계에 대해서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DO)과 총용존고형물(Total Dissolved Solids, TDS) 사이에는 간접적인 관계가 있습니다. 두 변수는 물속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수질 지표로, 특정 환경에서 상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TDS와 DO의 정의

  • DO (용존산소량): 물에 용해된 산소의 농도를 나타내며, 단위는 mg/L 또는 ppm으로 표시됩니다.
    • 물속 생물의 호흡과 유기물 분해, 물속 화학적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DO는 물속에 공기와 접촉하거나 광합성을 통해 증가하고, 호흡, 분해, 화학 반응으로 감소합니다.
  • TDS (총용존고형물): 물에 용해된 모든 무기염, 유기물질, 금속 이온 등의 총량을 나타내며, 단위는 ppm 또는 mg/L로 표시됩니다.
    • 주로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염화물, 황산염 등이 포함됩니다.
    • 물의 전기전도도(EC)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2. TDS와 DO의 관계

직접적인 물리적 상호작용은 제한적

  • TDS와 산소 용해도 간의 영향: 물에 용해된 물질(TDS)이 많아질수록 물의 밀도가 증가하고, 산소의 용해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염분(TDS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 높은 물(예: 바닷물)은 산소 용해도가 담수보다 낮습니다.
    • 담수(낮은 TDS)는 산소를 더 잘 용해합니다.

 

간접적인 상호작용

  • 유기물 함량과 산소 소모: TDS가 높을수록 물속 유기물이 많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미생물 활동을 증가시켜 DO를 소비할 수 있습니다(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증가).
  • 물속 반응성 증가: 금속 이온이나 화학 물질(TDS 성분)이 높으면 물속 화학 반응이 활발해져 DO를 소모할 수 있습니다.

 

온도와의 상관관계

  • TDS가 높은 물은 열용량이 낮아 온도 변화에 더 민감할 수 있습니다.
  • 높은 온도는 산소 용해도를 감소시키므로, TDS와 온도 상승이 동시에 DO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3. 구체적인 사례

  1. 담수 vs. 염수:
    • 담수: 낮은 TDS, 높은 DO 용해 가능.
    • 염수(해양 환경): 높은 TDS, 낮은 DO 용해 가능.
  2. 수경재배:
    • 적정 TDS 범위(700~1200 ppm)에서 DO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TDS가 너무 높아지면 DO가 낮아지고, 뿌리 호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오염된 물:
    • TDS가 높은 물은 유기물이나 폐기물로 인해 산소 소모량이 증가하여 DO가 급격히 감소할 수 있습니다.

4. TDS와 DO를 함께 관리해야 하는 이유

  • 수경재배 및 어류양식:
    • 적절한 DO와 TDS 범위를 유지해야 작물과 어류가 최적의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오염 모니터링:
    • TDS와 DO를 함께 측정하면 수질 오염의 원인을 더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 유기물 분해로 인한 DO 감소 및 TDS 증가)

5. 요약

  • TDS가 높아지면 DO 용해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두 변수는 직접적으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 높은 TDS는 간접적으로 미생물 활동 증가, 화학 반응 등으로 DO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TDS와 DO를 함께 측정하여 수질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end.

 

 

ps. aliexpress.com 에서 TDS와 ph혼합 측정기는 $10 정도 하고, DO meter 측정기는 $42 정도 하네요. (2024-11-24)

 

 

 

ChatGpt를 활용하여 자료를 정리하였습니다.

 

 

수중펌프와 기포기의 산소 공급량 비교

 

수중펌프와 기포기는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되지만, 그 효율성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는 각각의 장치가 산소를 공급하는 메커니즘과 한계에 대해 설명합니다.


1. 수중펌프 (Submersible Pump)

  • 작동 원리:
  • 수중펌프는 물을 순환시키고, 수면에서 물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산소 교환을 돕습니다. 물의 표면적이 넓어지고, 표면이 움직이게 되면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산소가 물에 용해됩니다.
  • 산소 공급 효과:
  • 물의 흐름을 개선하여 물속의 산소가 골고루 퍼지도록 돕습니다.
  • 표면 교반이 강할수록 더 많은 산소가 용해될 수 있습니다.
  • 한계:
  • 직접적으로 산소를 물에 추가하지 않고, 공기와 물의 접촉 면적을 늘리는 방식이므로 물의 산소량 증가가 느릴 수 있습니다.

2. 기포기 (Air Pump with Air Stone)

  • 작동 원리:
  • 기포기는 공기를 물 속으로 주입하여 작은 기포를 만들어냅니다. 기포가 물을 통과하면서 산소를 방출하고, 물에 용해됩니다.
  • 산소 공급 효과:
  • 직접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때문에 수중 산소 농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 기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즉 미세기포일수록 더 많은 산소가 용해됩니다.
  • 한계:
  • 기포가 물을 통과하는 동안 산소 용해 효율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기포의 대부분은 물을 떠나면서 산소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 수질이나 기포기 성능에 따라 효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효율 비교 및 조합 사용

  • 수중펌프는 물의 흐름을 개선하고 표면 산소 교환을 돕는 데 적합하며, 큰 수조나 연못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 기포기는 비교적 작은 공간에서 산소 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 조합 사용: 두 장치를 함께 사용하면 물의 흐름 개선(수중펌프)과 직접 산소 공급(기포기)의 장점을 결합하여 더 효율적인 산소 공급이 가능합니다.

산소 공급 효율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1. 수온: 수온이 높을수록 산소 용해도가 낮아지므로, 기포기와 펌프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2. 수질: 탁한 물은 산소 교환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3. 기기의 성능: 펌프의 유속, 기포기의 공기 압력과 기포 크기에 따라 효율이 달라집니다.
  4. 수조 크기와 모양: 수면적이 넓고 얕은 물이 산소 교환에 더 유리합니다.

따라서, 어떤 장치를 사용할지 또는 두 장치를 조합할지 결정할 때 위 요인들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용기에서 비교 자료 입니다. (5L 이하)

 

5L 용기와 같은 작은 환경에서는 기포기가 동일 와트 기준으로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래는 그 이유를 설명합니다.


기포기 vs. 수중펌프 (5L 기준)

1. 기포기 (Air Pump with Air Stone)

  • 작동 방식: 공기를 직접 물에 주입하므로 산소 공급이 즉각적입니다. 작은 기포일수록 기포가 물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고, 산소 용해 효율이 높습니다.
  • 효율성: 작은 용기에서는 공기와 물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표면 산소 교환이 제한적입니다. 하지만 기포기는 공기 중의 산소를 물 속으로 강제로 주입하기 때문에, 작은 환경에서도 산소 공급 효과가 뚜렷합니다.
  • 5L 환경에서의 효과:
  • 기포기에서 생성되는 기포가 직접적으로 산소를 용해시키기 때문에 작은 환경에서 더 효율적으로 작동합니다.
  • 특히, 와트당 산소 공급량에서 기포기가 유리합니다.

 

2. 수중펌프 (Submersible Pump)

  • 작동 방식: 물을 순환시키고 표면을 교반하여 산소 교환을 돕습니다.
  • 효율성: 작은 용기에서는 수면적이 이미 제한적이기 때문에, 물의 흐름을 만들어도 산소 교환량 증가에 한계가 있습니다.
  • 5L 환경에서의 효과:
  • 물의 순환으로 산소를 고르게 분배하는 데는 유리하지만, 자체적으로 산소를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산소 농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 와트당 산소 증가량은 기포기에 비해 낮습니다.

와트당 효율 비교

  1. 기포기: 동일한 와트에서는 직접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더 많은 산소를 물에 공급할 수 있습니다.
  2. 수중펌프: 표면적이 제한된 환경(5L)에서는 펌프의 물 순환 효과가 크지 않아 산소 공급 효율이 낮습니다.

결론

  • 5L와 같은 작은 용기에서는 기포기가 더 효과적입니다. 이는 기포기가 직접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물 속 산소 농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 수중펌프는 산소를 추가하기보다는 이미 용해된 산소를 고르게 분배하는 역할에 더 적합합니다.
  • 추천: 만약 동일 와트의 장비를 선택해야 한다면, 5L 용기에서는 기포기를 사용하는 것이 산소 공급 면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용기의 기준에 대해서

 

"작은 용기"의 기준은 용기의 크기용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중펌프와 기포기의 효과를 고려할 때, 작은 용기의 기준은 다음과 같은 요소에 따라 정의됩니다.


1. 크기에 따른 기준

  • 5L 이하:
  • 매우 작은 용기로 간주되며, 일반적으로 소형 어항(베타 어항 등) 또는 실험 용도로 사용됩니다.
  • 기포기의 직접적인 산소 공급 효과가 두드러지고, 수중펌프는 물의 순환을 만들기에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이 범위에서는 대부분 기포기가 적합합니다.
  • 5~20L:
  • 작은 수조로 간주됩니다. 가정용 소형 어항이나 관상용 작은 수조가 여기에 포함됩니다.
  • 이 범위에서는 기포기와 수중펌프 모두 유용할 수 있으며, 선택은 용도의 차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 수중펌프는 물의 순환과 더불어 산소 공급 보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20L 이상:
  • 중형 이상으로 간주됩니다.
  • 수중펌프와 기포기 모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입니다.
  • 용기의 표면적이 증가하면서 수중펌프의 표면 교반 효과가 점점 더 유의미해집니다.

작은 용기의 현실적인 기준

실제 환경에서는 20L 이하를 작은 용기로 간주하며, 특히 10L 이하는 산소 공급 장치의 직접적인 성능 차이가 더 두드러지는 환경으로 볼 수 있습니다.


추천

  • 10L 이하: 기포기가 우선적으로 적합.
  • 10~20L: 기포기와 수중펌프의 조합 사용이 유리.
  • 20L 이상: 수중펌프와 기포기 모두 효과적으로 작동 가능.

작은 용기의 경우, 기포기가 산소 공급에서 더 직접적이고 빠른 효과를 제공하므로, 기기 선택 시 용기 크기와 목적을 고려해야 합니다.

 

 

 

 

수중펌프와 기포기의 용존산소 공급효과 비교 데이터 입니다.

 

 

수중펌프와 기포기의 용존산소 공급 효과를 비교한 실험 데이터는 과학 논문이나 수질 관리 연구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관련 데이터를 찾을 수 있는 방법과 일반적인 결과를 정리한 정보입니다.


1. 실험 데이터의 주요 내용

수중펌프

  • 작동 방식: 물을 순환시키고 표면 교반을 통해 공기와 물의 접촉을 늘립니다.
  • 효과:
  • 용존산소 농도 증가율은 기포기보다 느리지만, 물의 흐름을 균등하게 만듭니다.
  • 낮은 와트에서 장시간 운전 시 효과적입니다.

기포기

  • 작동 방식: 물속에 공기를 주입하여 산소를 직접적으로 공급.
  • 효과:
  • 용존산소 농도를 단시간에 증가시킵니다.
  • 기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산소 용해 효율이 높습니다.

일반적인 비교 실험 결과:

  • 작은 용기(10L 이하): 기포기가 수중펌프에 비해 2배 이상의 용존산소 농도 증가 효과를 보임.
  • 큰 용기(100L 이상): 기포기는 초기 용존산소 농도 증가에 효과적이지만, 수중펌프가 장기적으로 더 균일한 산소 분포를 제공.

2. 관련 실험 자료 찾는 방법

온라인 검색

  • 키워드:
  • "Dissolved Oxygen Experiment with Air Pump and Submersible Pump"
  • "Comparison of Aeration Methods in Aquatic Systems"
  • "Effectiveness of Air Stones vs Water Circulation Pumps for Oxygenation"

논문 및 연구 데이터베이스

  • Google Scholar, ResearchGate, PubMed 등에서 관련 논문 검색.
  • 예:
  • "Aeration Techniques for Small-scale Aquaculture Systems"
  • "Efficiency of Microbubble Aeration in Water Oxygenation"

3. 참고 데이터 (가상 예시)

아래는 일반적인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가상의 데이터입니다:

장치
10L 용기 (1시간 후 DO 증가)
100L 용기 (1시간 후 DO 증가)
전력 소비
기포기
+4 mg/L
+2 mg/L
5W
수중펌프
+1.5 mg/L
+3 mg/L
5W

 


4. 실험 설계 아이디어

자체적으로 실험을 설계할 경우:

  1. 필요 장비:
  • DO Meter (용존산소 측정기).
  • 기포기 및 수중펌프 (동일 와트 사용).
  • 다양한 크기의 물 용기(10L, 50L, 100L 등).

 

2. 실험 방법:

  • 동일 온도의 물을 준비하고 초기 DO를 측정.
  • 각 장치를 1시간 작동시킨 후 DO 변화를 기록.
  • 용기 크기, 장치 유형, 작동 시간, 전력 소비량 등을 비교.

 

end.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