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알리에서 구매한 제품에 대한 전력 사용량

 

 

  1. 전력 사용량과 요금

 

전력 사용량 측정 환경 : 펌프 동작 중 + LED 등 단계별 측정

LED
밝기
전력 사용량
16시간 사용 기준 kw - 한달
(=(w * 16h * 30)/1000)
전기요금
(201~400kWh 구간: 214.6원/kWh)
전기요금
(400kWh 초과: 307.3원/kWh)
3단계
24.8 w
약 11.9 kw
2,554원
3,657원
2단계
17.4 w
약 8.4 kw
1,803원
2,811원
1단계
13.0 w
약 6.2 kw
1,331원
1,905원

 

아래는 스마트 플러그를 사용해서 실제 측정한 전력 사용량입니다.

11월 21일 부터 타이머 16h로 적용했고 전력량은 0.411 kw 입니다.

실제 전력량으로 사용요금을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2024-11.23)

 
LED
밝기
1일 전력 사용
(16h 타이머)
한달
전력량(=kw * 30)
전기요금
(201~400kWh 구간: 214.6원/kWh)
전기요금
(400kWh 초과: 307.3원/kWh)
3단계
0.411 kw
약12.33 kw
2,646원
3,789원

 

2. 빛의 밝기

 

해당 수경재배기의 룩스를 계산하기 위해서 측정해봤습니다.

조건은 LED 봉 최대 길이에서 측정하고, 측정은 우측 가장자리 포트를 두껑을 빼고, 가운데 포트 사이에서 측정

 

수경재배기가 2대라서, LED를 한대만 켰을 때와 두대를 켰을 때 로 측정하였습니다.

 

1) 두대의 LED를 켰을 때

LED 밝기
(단위: EV)
LED 높이 (3단봉): 28 cm
LED 높이(5단봉): 45.7cm (약18인치)
한대만 LED를 켰을 때 (EV)
두대의 LED를 켰을 때 (EV)
두대의 LED를 켰을 때 (EV)
두대의 LED를 켰을 때 (EV)
+ 다이소 암막 (안쪽이 검정코팅)
재배기위치
재배기L
재배기R
재배기L
재배기R
재배기L
재배기R
재배기L
재배기R
3단계
10.2
10.1
10.4
10.4
9.4
9.2
9.7
9.5
2단계
9.7
9.7
10.0
9.9
9.0
8.8
9.3
9.1
1단계
9.2
9.3
9.6
9.5
8.7
8.4
9.1
8.8

ps. 노출계 ISO 100 일때 값 / LED밝기는 3단계(최대밝기)

2) 높이별, 두대의 LED를 켰을 때와 다이소 암막 커튼을 사용했을 때

LED는 5단 봉까지 가능하고, 최대 높이는 45.7 cm 입니다. 스팩은 44.cm(17.6inch)인데, 45.7(18inch) 까지 가능했습니다.

 

봉 한 단계 높이는 대략 9cm 이고, 단별로 밝기는 약 0.4 ~ 0.6 EV 차이가 남.
LED 높이
2단봉: 18.2 cm
3단봉: 27.4 cm
4단봉: 36.5 cm
5단봉: 45.7 cm
암막사용
여부
암막없이
암막사용
암막없이
암막사용
암막없이
암막사용
암막없이
암막사용
LED밝기
(단위: EV)
재배기 (Left,Right)
재배기 (Left,Right)
재배기 (Left,Right)
재배기 (Left,Right)
L
R
L
R
L
R
L
R
L
R
L
R
L
R
L
R
3단계
11.1
11.1
11
11.1
10.4
10.3
10.5
10.3
10.0
9.8
10.0
9.9
9.4
9.2
9.7
9.5
2단계
10.6
10.7
10.5
10.7
10.1
9.8
10.1
10.1
9.6
9.4
9.7
9.5
9.0
8.8
9.3
9.1
1단계
10.2
10.2
10.0
10.3
9.8
9.3
9.8
9.6
9.4
9.1
9.4
9.2
8.7
8.4
9.1
8.8

ps. 노출계 ISO 100 일때 값 / LED밝기는 3단계(최대밝기)

ps. 얍채류가 생장하면서, 키가 있기 때문에 LED가 4단봉 이어도, 3단봉의 빛을 받을 수 있다.

ps. 특정 높이를 고집하기 보다는 효율성을 위해서 봉을 조정하는 것이 좋고, 식물이 LED에 닿지 않을 정도의 공간을 두면 생장에 효율적이다.

 

요즘 저렴한 암막은 안쪽에 검정코딩으로 나오네요.

밝은 천이면 광량이 더 나올 것 같은데 조금 아쉬웠습니다.

 

그리고, 재배기 2대 의 광량이 조금 다르긴한데, 광량 측정위치가 아래 별표 위치라서, 왼쪽 재배기 측정기가 더 잘나오는 것 같습니다.

 

 

 

ps. 노출계가 ISO200 으로되어 있어서, ISO100으로 측정값을 다시 보정하였습니다. ( - 1 EV 적용)

 

사진 찍을 때 사용하던, 노출계를 이용해서 ev를 측정 후, EV / LUX (룩스) 를 변환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0.0 EV => 2,560 lux

10.1 EV => 2,744 lux

10.2 EV => 2,941 lux

10.3 EV => 3,152 lux

10.4 EV => 3,378 lux

10.5 EV => 3,620 lux

10.6 EV => 3,880 lux

10.7 EV => 4,159 lux

10.8 EV => 4,457 lux

10.9 EV => 4,777 lux (타이머 16 시간 기준, 가장 알맞는 밝기)

11.0 EV => 5,120 lux (LED 3단계)

11.1 EV => 5,487 lux (LED 3단계)

11.2 EV => 5,881 lux

11.3 EV => 6,303 lux

11.4 EV => 6,756 lux

11.5 EV => 7,541 lux

 

그리고, 수경재배기 책을 참조하면 빛은 5,000 lux 이상을 권고하고,

하루에 77,000 (lux*lux) 정도 빛을 받아야 한다고 하네요.

계산하보면, 11 EV (5,120 lux) 는 약 15h 시간, 11.1 (5,487 lux) 는 14h 입니다.

10.0 EV => 2,560 lux (77,000 / 2,560 = 약 30h, 너무 어두움 ▶ 1) 높이를 낮추던지, 2) LED를 보강하던지, 3) 밖에 두던지...)

11.0 EV => 5,120 lux (77,000 / 5,120 = 약 15h)

11.1 EV => 5,487 lux (77,000 / 1,487 = 약 14h)

 

 

재배기 기본값 16시간 타이머, LED 3단계 이면 77,000 빛을 받으려면,

77,000 / 16 h = 4,812.5

생장에 따라 4812.5 lux ( 10.9 EV) 정도 빛을 받을 수 있게 높이를 설정해야 겠네요.

 

타이머는 오전에 설정하고, 밤에 LED만 off 되었습니다. 전원은 켜져있고, 펌프만 on/off 계속되고 있습니다. (2024-11-19)

몇일 동안 터치 버튼을 눌러서, 타이머가 잘 안되는 것처럼 보인것 같네요.

 

 

 

 

 

사이트에 보면 식이 있네요.

예)

2.5 x 2^10EV(지수) = 2.5 x 1024 = 2,560 lux

2.5 x 2^11EV(지수) = 2.5 x 2048 = 5,120 lux

 

 

end.

 

 

어쩌다가, 수경재배 얘기가 나와서 시작합니다.

 

  1. 수경재배기

- aliexpress.com 에서 구매냈고, 모델은 Indoor LED Hydroponic System 구매했습니다. 광군재 기간에 구매해서 $20.37 에 2대 구매함.

 

 

2. 수경재배기 기능

우측 상단에 전원버튼

우측 중간은 시간설정 버튼 12h / 16h / 22h

우측 아래는 밝기 버튼 3단계

 

좌측 상단은 펌프 사용유무 버튼

좌측 하단 빛설정 버튼으로 채소류 용도 또는 꽃 용도로 설정.

빛설정을 하면 채소류는 led 중 백색, 빨강, 파랑을 모두 사용하고, 꽃은 백색, 빨강만 사용합니다.

 

물은 통 우측 눈금에 Max 4.5L 로 표시되어 있는데, 물 조리기로 부었을 때, 약 5L 정도 들어갔네요.

 

3. 제품 리뷰

1) 장점

  • 깔끔하고, 식물은 13개 재패포트 이 있어요.
  • LED 기둥은 적당히 튼튼합니다.
  • 저 가격에 저정도 쿼리티면 괜찮은 것 같네요.

 

2)단점

  • 가로 길이가 조금 아쉬워요.
  • 콘센트가 US 또는 EU 규격만 있어서 아쉽습니다.
    • EU 구매하고, 안전을 위해서 쿠팡에서 별도의 EU 에서 한국형 변환 콘센트를 구매했어요.
 
EU 플로그에서 한국형으로 변환하는 콘센트
 

 

구매 후, 제품 점검. 모두 잘 작동됩니다.

 

아침 6시30분 에 재배기를 켜고, 16h 스케줄 설정 후, 오후 10시 25분 경에 조명은 정상적으로 꺼졌습니다.

수중 펌프는 오후 11시 30분 현재도 작동중입니다. 펌프는 일정시간 on/off를 계속 반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왼쪽 수경재배기 펌프가 소리가 좀 심합니다. 오른쪽은 조용한 편이구요. 복불복 같네요. ㅠㅠ;;; (2024-11-19)

 

다른 분들 리뷰를 보면, 펌프가 2년 정도 후 고장이 나는 것 같습니다. 같은 사양의 펌프 구하기가 힘드네요.

하나 찾긴했는데, 가격이 만원에 배송비 4천원... 재배기를 2만 9천원에 구입했는데, 고민네요.

펌프 구하기 힘들면, 어항용 펌프를 사용해보는 것도 생각해봐야 겠어요. (2024-11-19)

 

4. 전력 사용량

 

 

티피링크 플러그를 사용해서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 해보면, 24w ~ 25w를 주기적으로 반복하고 있습니다.

25w는 LED 와 펌프가 동작하는 경우고, 24w 는 LED만 동작하고, 펌프가 쉴 때 측정된 값입니다.

 

펌프 on/off 반복 주기는 30분 on, 30분 off 입니다.

타이머는 16h 이고, 타이머 off 이후로 전력 사용량은 약 0 ~ 1 w 사이로만 움직이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전력이 LED용 같네요. (2024-11-23)

 

저녁에 영양제를 넣고, 희석하기 위해서 펌프를 on/off 했더니 오늘 저녁에는 LED가 꺼지지 않습니다. ㅠㅠ;;; (2024-11-20)

 

 

5. LED에 따른 온도변화

 

수경재배기 off 이후, 온도변화 차이 (2024-11-22)

- off이후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시점으로 계산함.

- 암막이나 수경재배기가 위치한 환경의 차이가 있고, 11/22 그래프보면 3시쯤 온도/습도가 내려가는데 날씨 영향도 있는 듯.

(베란다 문을 조금 열어두고 외출했어요.)

 
off 전 온도 (℃)
off 후 온도 (℃)
온도차이 (℃)
비고
2024-11-21
24.8
23.7
1.1
이날은 오후에 온도가 높아, 퇴근 후 재배기 주변에 암막 제거함
2024-11-22
24.9
24.1
0.8
이날은 암막없이 off 될때까지 유지함.
오후에 환기로 온도, 습도가 급락 후 회복함.

 

 

6. 씨앗을 심는 순서

아래 그림에서 제품 구성품을 이용해서 씨앗을 심습니다.

1) 7번 baskets를 수경재배기 구멍에 넣고

2) 6번 스폰지를 basket에 넣으면, 잠시 후 물이 스폰지에 흡수됩니다. 그 후에 씨앗을 심습니다.

3) 심을 씨앗을 스폰지 가운데에 놓습니다. (수경재배기 용은 스폰지 가운데가 홈이 있습니다.)

4) Pod label을 붙이고,

5) 4번 투명 lib으로 수경재배기 구명을 덮습니다.

6) 발아 후, 떡 잎이 나면 적당한 때에 투명 lib(캡)을 제거하고, 키웁니다.

 

 

 
 
 
 

7. 심은 채소 목록

1) 바타비아 계열 3 (재배포트) * 2 (수경재배기 대수)

2) 양상추 3 * 2

3) 청경채 2 * 2

4) 비타민채 2 * 2

5) 적상추 2 * 2

6) 치커리 1 * 2

 

 
 
 
 
 

 

씨앗 심기 - 2024-11-16

end.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