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수경재배기 2대 중 오른쪽은 발아용으로 사용하기로 하고,

키우던 녀석들은 발코니에 있는 DIY수경재배기로 옮겼습니다.

 

 

이케아 선반 폭이 60cm 인데, 아무찾아도 폭60cm 리빙박스를 구하지 못해서 아래와 같이 1층에 큰 박스와 작은 박스를 하나씩 뒀습니다.

가운데 깻잎 뒤는 티피링크 스마트 온습도센서 입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스마트 플러그를 설정했습니다.

- 스마트 플러그2번(맨위): 각 층의 T5 LED 전원을 on/off 하도록 설정했습니다.

- 스마트 플러그3번: 어항히터 전원으로 전력 모니터링 목적으로, 자동화 on/off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 스마트 플러그4번: 수중펌프로 양액을 순환시킵니다.

 

 

'수경재배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S, pH 점검 2025-01-21(화)  (0) 2025.01.22
TDS, pH 점검 2025-01-19(일)  (0) 2025.01.13
추가 발아중  (0) 2025.01.07
TDS, pH 점검 2025-01-05  (1) 2025.01.05
발코니 수온, 실온 및 밝기 변환 기록  (1) 2025.01.02

티피링크 스마트 플러그를 사용하다가 aliexpress에서 스마트 USB제품을 알게 되었습니다.

스마트플러그가 v220 교류 전원용이면 스마트 USB는 USB전원용 IOT제품입니다.
기능이 유사하게 지원하고 전력 모니터링은 없습니다.

smart usb로 검색하면 많은 제품이 나옵니다.
아래 제품은 Smart Life라는 앱으로 연동이 되고, google home 도 지원하고 있어요.
포트가 1개에서 3개까지 지원하는 제품이 있고, 스마트 플러그 가격보다 1/3 ~ 1/2 정도 수준입니다. (포트 개수에 따라 가격 차이가 납니다.)

 


전력 모니터링이나 다른 제품과 자동화가 필요하지 않고, USB전원을 관리하고자 한다면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추천드립니다.


티피링크 스마트 플러그와 비교해서 장점은
1. 포트가 2개 이상이면 각 포트마다 스케줄을 적용할 수 있어서 효율적입니다. 스마트 플러그 2~3대를 커버합니다.
2. 대기 전력이 스마트 플러그보다 적습니다. 그런데 두 제품모두 대기 전력 낮아서 미세합니다. 약 0.5w 차이 ^^;;;

단점은
1. 전력 모니터링 기능은 없습니다.
2. 스케줄에서 일출, 일몰 기반 설정이 없습니다.

위 제품은 스케줄이 30개까지 가능했어요.
스마트 플러그처럼 자동 꺼짐도 지원하고, google home을 통해서 자동화가 가능합니다.

end.

'수경재배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홈 제품을 이용한 수경재배 관리  (0) 2025.01.10
DC to DC 스텝다운 / Output USB  (0) 2025.01.04
수중펌프  (0) 2025.01.04
DIY수경재배기 작성 후기  (1) 2025.01.01
양액 교체를 위한 도구들  (0) 2024.12.29

요즘 스마트홈 관련 기기가 많아서 집 밖에서 집을 관리할 수기 있습니다.
저는 스마트홈  련 기기 중에 티피링크 제품을 이용해서 발코니 수경재배기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사용제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온습도센서 T310 - 1개
- 3단 수경재배기 맨 위 1단에 세팅
- 2단은 수경재배기가 있고, 맨 아래는 양액통이 있어요.

 

2. 스마트허브 H100 - 1개
- 이건 살 계획이 없었는데, T310을 연결하려면 허브가 있어야 한다는 걸 나중에 인지해서 샀습니다.
- 상위 모델까지는 필요가 없어서 이 모델을 구입했어요.

 

3. 스마트플러그 P110 - 3대
- 1대는 LED 점등 스케줄용
- 1대는 수중펌프 스케줄용
- 1대는 어항히터 전력모니터링 용

 

ps. LED가 220v 전원용이라 LED용 플러그는 꼭 필요하고, 수중펌프는 요즘 스마트 USB 제품을 사용해도 충분합니다. 스마트 USB는 따로 소개드릴게요. 어항히터가 온도 센서가 있어서 스마트 플러그가 필요 없지만, 전력량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 임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현재 판매중인 제품입니다. (2025-01-10)
온습도계 T315 가 화면이 있지만, 앱에서 연동하려면 스마트 허브가 있어야 합니다. ㅠㅠ



설정을 하고나면, 아래와 같이 앱에 나옵니다.


설정은
1. 온습도기 센서 값으로, LED플러그를 on/off 자동 제어하고 있어요.
2. LED플러그, 수중펌프 플러그는 각각 스케줄 설정하고,
3. 양액히터 플러그는 히터 자체에 온도 제어 기능이 있어서 스케줄은 없습니다.

먼저 온습도계를 보면, 아래와 같이 스마트 액션을 통해서 센서 값에 따라 다른 기기를 on/off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온습도센서의 측정값 그래프입니다. 발코니 수경재배기는 해가 뜨면 온도가 급상승합니다.^^


다음음 LED플러그의 스케줄 입니다.
재밌는 건 일출, 일몰 시간으로 스케줄 설정이 가능합니다.
보통은 오후 10시에 LED를 끄는데 요즘 추워서 11시 50분까지 켜둡니다.


아래는 사용 전력량입니다. 최근 사용량은 그래프로 상세히 볼 수 있고, 달력을 선택하면 월사용량을 알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수중펌프 설정입니다.


위에 보면 설정이 이상하죠? 끄기 설정이 없습니다.
스케줄이 32까지만 등록돼서 on/off 설정하가 보면 스케줄이 모자랄 수 있는데, 앱에 보면 자동 꺼짐 타이머를 이용하면 on후에 일정 시간이 되면 off 돼서 편합니다.


위 제품은 구글 홈과도 연동이 됩니다. 하지만, 전용앱에서 세세한 설정이 가능하고 그래프나 전력량을 조회할 수 있어서 전용앱으로 소개했습니다.

여기까지 자동화 설명입니다~^^


end.

'수경재배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USB, smart USB 소개  (0) 2025.01.10
DC to DC 스텝다운 / Output USB  (0) 2025.01.04
수중펌프  (0) 2025.01.04
DIY수경재배기 작성 후기  (1) 2025.01.01
양액 교체를 위한 도구들  (0) 2024.12.29

 

팁번 발생으로 자주 점검하고 있습니다.

양액이 0.5L ~ 1L 줄어, 물만 채우고 TDS, pH를 점검했습니다.

 

1. 왼쪽 수경재배기

일자 시간 수위
(L)
TDS
(ppm)
pH농도 온도
(℃)
비고
2024-12-14 14 4.05 756 4.48 22.0  
2024-12-14 15 4.5 963 5.74 21.5 수위를 4.5L로 하고, 양액 a,b를 각각 5ml 씩 추가
2024-12-18 21 3.95 963 4.75 23.5  TDS 농도 양호 (800 ~ 900정도 맞추려함)
pH농도가 낮아지고 있음. => 확인필요
2024-12-18 22 4.5 1092 5.24 - 수위를 4.5L로 하고, 양액 a,b를 각각 5ml 씩 추가
2024-12-24 22 3.8 863 6.23 23.3 12/20 경에 물만 1L 보충. 수돗물ph(6.94(7.3)pH)
2024-12-24 23 4.5 918 6.38 21 물 0.7L추가. 양액 a,b는 3ml 추가 (농도유지)
1번 측정기 5.4*는 오류값으로 보임. 수돗물pH를 고려하면 수치값이 더 작을 수는 없음.
2025-01-05 21 4.5 1428 6.36 24 칼슘추가로 TDS값이 높게 측정됨.
다음엔 농도를 1200ppm 이하로 낮출 것.
2025-01-07 23 4.5 1284 6.35 23.5 물만 추가함
목표  TDS 900ppm (광량조절 중. 칼슘추가는 추후 검토)

※ TDS와 pH농도 값은 측정기2,3의 값 입니다.

※ 양액 a,b의 적정량은 물:양액 = 1L:5ml 입니다.

※ TDS, pH농도 유지 목표

 - TDS 수치는 800ppm ~ 900ppm

 - pH농도는 6.0pH ~ 6.5 pH. pH농도는 최근 낮아지고 있어서 양액 조정 후 6 pH 초반으로 조정하기로 함

 

2. 오른쪽 수경재배기

일자 시간 수위
(L)
TDS
(ppm)
pH농도 온도
(℃)
비고
2024-12-14 14 4.3 422 6.27 22.4  
2024-12-14 15 4.5 637 6.56 21.7 수위를 4.5L로 하고, 양액 a,b를 각각 5ml 씩 추가
2024-12-18 21 4.4 637 6.39 23.1 TDS와 pH농도 유지 => 양호
2024-12-18 22 4.5 918 6.2 - 수위를 4.5L로 하고, 양액 a,b를 각각 5ml 씩 추가
2024-12-24 22 3.9 785 4.5 23.1 수위가 낮아지면서, pH농도가 왼쪽처럼 낮아짐.
2024-12-24 23 4.5 808 5.54 21 물 0.6L추가. 양액a,b는 1ml씩 추가 (농도 낮게)
1번 측정기 5.4*는 오류값으로 보임. 수돗물pH를 고려하면 수치값이 더 작을 수는 없음.
2024-12-24 24 4.5 918 6.14 19 pH농도를 올리기 위해서 기존 양액 1L를 버리고, 1L 물 추가.
버린 양액을 감안해서 ppm위해서 양액a,b는 5ml씩 추가.
2025-01-05 21 4.5 1428 6.35 24.6 칼슘추가로 TDS값이 높게 측정됨.
다음엔 농도를 1200ppm 이하로 낮출 것.
2025-01-07 23 4.5 1352 6.3 24 물만 추가함
목표  TDS 900ppm (광량조절 중. 칼슘추가는 추후 검토)

※ TDS와 pH농도 값은 측정기2,3의 값 입니다.

※ 기기 값은 pH는 측정기2, ppm은 측정기3 값이 더 신뢰해 보입니다. 몇 번 더 측정후 선택해서 측정해야 겠어요.

 

3. 측정기 소개

아래 측정기 왼쪽부터 1,2,3 이면,

 

1번은 주 측정기로 ppm,  ph농도를 모두 측정이 가능하고, (이제 사용 안함)

2번은 pH농도만 측정이 가능하고, (아쉽게도 hold 기능이 없습니다.)

3번은 ppm농도만 측정이 가능합니다.

1번은 양액 내에서 값이 계속 내려가는 오류가 있어서 제외함.

 

4. 적정 TDS

적정 TDS는 ChatGpt 는 500~750ppm, 농업기술길잡이/식물공장(EC1.5~2.0) 책에는 750~1000ppm(계수: 500) 입니다. 계수가 700이면 1050 ~ 1,400ppm 입니다.

 

https://growingathome.tistory.com/19

 

TDS와 EC에 대해서

TDS와 EC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경재배를 할 때, 양액의 ppm(TDS: Total Dissolved Solids 총용존고형물) 과 pH(수소이온농도) 를 많이 신경을 써는데,그중에서 비슷한 의미의 TDS와 EC에 대해서 알아

growingathome.tistory.com

 

 

end.

 

 

발코니에 DIY수경재배기에 5포트가 확보가 되서 추가로 발아를 시작했습니다.

aliexpress에서 원퍼치피팅 부품이 오면 4 포트를 더 확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9 포트에 새로 심을 채소 발아중입니다. 왼쪽은 비타민채, 오른쪽은 청경채 입니다.

 

날씨가 추워서 가능한 실내에서 모종마큰 키운 후 내보내려 합니다.

기존 2대의 수경재배기의 포트에 있는 식물을 보내려고 보니, 뿌리가 너무 엉켜 밖으로 보내기는 힘들것 같네요.

 

 

 

'수경재배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S, pH 점검 2025-01-19(일)  (0) 2025.01.13
DIY 수경재배기 추가  (0) 2025.01.12
TDS, pH 점검 2025-01-05  (1) 2025.01.05
발코니 수온, 실온 및 밝기 변환 기록  (1) 2025.01.02
수경재배 D+46 (수확 70g)  (0) 2025.01.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