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경재배를 하면서, 생장 단계(모종 -> 수확으로 가는 단계)에서 양액이 산성화되고 있어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결론)

1. 양액은 양이온 흡수과정에서 수소이온 방출과 뿌리 호흡과정에서 유기산을 방출하여 양액은 자연스럽게 산성화 된다.

2. 양액이 산성화 되면, 영양흡수에 장애가 되므로 산도를 조정해야 한다.

3. 산도는 조정제를 사용하거나, 양액을 교체한다.

  - 저는 필요한 만큼의 양액을 교체하여 pH농도를 조절하기로 했습니다.

 

1. 산성화의 원인은? (from ChatGPT)

수경재배에서 양액이 산성화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식물의 양이온 흡수
    식물은 성장 과정에서 양액 속의 양이온(예: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을 흡수하면서 대신 수소 이온(H⁺)을 방출합니다. 이로 인해 양액의 pH가 낮아지고 산성화가 진행됩니다.
  2. 뿌리 호흡과 유기산 방출
    식물의 뿌리는 호흡 과정에서 유기산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이 유기산은 양액의 산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3. 비료의 성분
    양액에 포함된 비료 중 일부(예: 암모니아성 질소)는 식물에 흡수되는 과정에서 산성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미생물 활동
    양액 내 미생물이 분해 활동을 통해 유기물을 분해하거나 특정 물질을 대사하면서 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5. 물의 증발
    수경재배 환경에서 물이 증발하면 양액이 농축되며, 이 과정에서 pH가 변화하여 산성화될 수 있습니다.

양액의 pH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려면 정기적으로 pH를 측정하고, 필요 시 pH 상승제를 사용하여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수경재배에서 양액의 산성화는 자연스러운 현상인가? (from ChatGPT)

수경재배에서 양액의 산성화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이를 방치하면 식물 성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산성화의 자연스러운 측면

  • 식물은 정상적인 생리작용 중 양이온 흡수와 수소 이온 방출을 통해 pH 변화를 일으킵니다. 이는 성장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뿌리 주변의 화학적 환경 변화는 생리적으로 필연적인 부분이므로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될 수 있는 경우

  • pH 변화가 너무 크거나 지속적인 경우:
    pH가 적정 범위(대개 5.5~6.5)를 벗어나면 영양소의 흡수율이 감소하고, 특정 미네랄(예: 철, 망간 등)이 과잉 흡수되거나 결핍될 수 있습니다.
  • 영양소 불균형:
    산성화가 심해지면 칼슘, 마그네슘 등 중요한 양이온의 흡수가 방해받아 식물의 성장 저해 및 생리장애(예: 칼슘 결핍으로 인한 생장점 고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미생물 번식 문제:
    과도한 산성 환경은 특정 병원균의 활동을 촉진할 수 있어 뿌리 부패 등 질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관리 방법

  1. 정기적인 pH 측정
    • 매일 또는 정기적으로 양액의 pH를 측정하여 적정 범위를 유지합니다.
  2. pH 조정제 사용
    • 필요 시 pH 상승제(예: 칼슘 수산화물)나 하강제(예: 인산)를 활용해 pH를 조절합니다.
  3. 양액 교체
    • 일정 주기마다 양액을 새로 준비하여 산성화와 영양소 불균형을 방지합니다.
  4. 완충제 추가
    • 양액에 완충제를 추가하면 pH 변화가 완화되어 더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산성화 자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이를 관리하지 않으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꾸준한 관찰과 적절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end.

'생리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 갈변  (2) 2025.01.25
수경재배 양액의 pH염기성 변화  (0) 2025.01.25
팁번#2  (1) 2025.01.07
뿌리섞음 (업데이트 2025-01-04)  (1) 2024.12.31
팁번 (바타비아, 상추, 앱채류)  (0) 2024.12.29

 

 

이케아에서 구매한 선반에 맞는 수경재배용 리빙박스를 찾아봤습니다.

 

# 조건

1) 반투명일 것 (녹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투명은 피해야 합니다.)

2) 가로, 세로는 선반에 맞는 60 x 27 사이즈와 유사한 박스.

3) 높이가 약 10 cm 인 것. (양액을 순환시키므로 높이가 높을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4) 리빙박스 플라스틱이 연질이고, 두께가 적당할 것. 원터치 피팅 배관을 위한 타공 후 물 샘 방지를 위함.
    (인터넷에서는 확인이 조금 어렵긴 합니다.)

 

높이가 낮은 리빙박스는 검색어중 "침대밑 리빙박스" 또는 "리빙박스 half"로 검색했습니다.

안타깝게도 가로 60cm 인 리빙박스는 찾지 못했습니다.

 

일단, 가로 40cm짜리와 여유가 되면 20 짜리 박스를 하나 더 두기로 했습니다. (배관이 좀 지저분해질 것 같긴 합니다.)

이 중에서 아래 제품이 가장 적당해 보였습니다.

 

# 가규 모던 라운드 리빙박스

  + 사이즈: 36 x 26 x 8.5cm(높이)

  + 가격 : 6,790 / 2개  (1개 당 3,395원)

 

위 제품은 뚜껑이 포함된 제품입니다. 뚜껑에 바로 포트 구멍을 꿇으면 편할 것 같습니다.

 

https://www.coupang.com/vp/products/1981860137?itemId=3371771471&searchId=500dd6165e944ad5a6b41035414d5b08&sourceType=brandstore_sdp_atf_topbadge-all_products&storeId=2364&subSourceType=brandstore_sdp_atf_topbadge-all_products&vendorId=A00175331&vendorItemId=72801447348&isAddedCart=

 

가규 모던 라운드 리빙박스 - 플라스틱 리빙박스 | 쿠팡

현재 별점 4.8점, 리뷰 741개를 가진 가규 모던 라운드 리빙박스!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플라스틱 리빙박스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 [락앤락]모노톤 바스켓 15L

  + 사이즈: 41.3 x 29.7 x 15.5 cm(높이)

  + 가격: 5,200원 / 1개

 

이 제품은 뚜껑은 없으나 견고하고, 상부에 스티로폼이나 우드락을 이용해서 뚜껑을 만들어 사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https://www.lotteimall.com/goods/viewGoodsDetail.lotte?goods_no=1291615728&glog=e1804_c220&rccode=pc_detail2&dispAdutCd=pc_e1804_c220

 

롯데홈쇼핑 - 새로운 일상의 시작!

고객님께서 기존에 등록하신 피부타입/고민 저장 서비스의 제공 목적이 아래와 같이 확대되었습니다. 내용 확인 후 동의 여부를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www.lotteimall.com

 

end.

 

현재는 실내에서 수경재배기 2대로 채소를 키우고 있지만,

좀 따뜻해지면 베란다에서 식물을 키우고 싶어서 수경재배기를 만들려고 자료를 모으고 있습니다.

 

DIY로 "담액 순환식 수경(DFT: deep flow technique)" 재배기를 제작한다면,

1) 리빙박스 위에 포터 구멍을 뚫고,

2) 리빙박스를 아래에는 원터치피팅으로 호스를 연결해서 수위를 점검하고,

3) 다단으로 리빙박스로 구성하면, 아래위 박스를 연결해 줍니다.

4) 마지막으로 맨아래 양액저장통에서 워터펌프로 맨 위 리빙박스로 양액을 올려 줍니다.

 

예전에 사용하던 6mm 호스가 있어서 재활용하려는데,  6mm 호스와 워터펌프 용량의 용량이 적정한지 궁금해서 ChatGPT에 질문을 했습니다.

 

워터펌프를 aliexpress.com에서 보통 240L/h 제품을 많이 판매해서, 해당 제품으로 질문을 했습니다.

 

 

결론 요약.

 

1. 240L/h 펌프에 6mm 호스는 가정용 수경에 적합하다.

 - 단, 호스가 길어지면, 압력이 약해지므로 8mm 이상이 적합하다.

 

2. 100L/h 펌프의 경우,  6mm 호스로 2m 높이로 물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펌프의 수두(헤더)(최대 높이 지원)가 2.5 m 이상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 소형 수경재배 펌프의 수도는 보통 1.5m ~ 3m 사이인데, 수두 높이 확인은 필요함. 소형제품에는 정보가 없네요.

- 만약 펌프의 최대 수도가 낮다면, 가능한 방법.

  1) 호스 직경을 8mm로 늘리면 마찰 손실이 감소하여 더 효율적으로 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2) 더 강력한 펌프로 교체한다.

 

3. 호스 크기와 유량 참고 표

아래 표는 호스 내경에 따른 대략적인 유량과 적정 유속을 나타냅니다.

호스 내경 (mm) 유량 (L/min) 유량(L/h) 적정 유속 (m/s) 압력 손실 증가율
4mm 1 ~ 3 60 ~ 180 0.5~1.0 높음
6mm 4 ~ 8 240 ~ 480 0.5~1.5 중간
8mm 8 ~ 16 480 ~ 960 0.5~2.0 낮음
10mm 16 ~ 30 960 ~ 1800 0.5~2.5 매우 낮음

 

4. 가능하면, 6mm 보다는 8mm 이상 호스를 추천.

현재 10mm 호스로 작업하고 있는데, 호스가 굵으면 전반적인 원가가 올라갑니다. (2024-12-27 업데이트)

호스도, 원터치피팅도 모두 가격도 올라갑니다. 참조하세요.

DIY를 몇 번 해서 8mm와 10mm를 비교해봐야 겠네요.

 

 

end.

 

ps. 너무 상세히 나오니까, 머리가 아파옵니다. 제품을 구매 후 후기를 작성해야겠습니다. ^^;;;

 

 

아래는 ChatGPT로 정리하였습니다.

 

 

펌프 용량이 240L/h인 경우 적당한 호스 외경은 펌프가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유량과 압력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다음을 참고하세요:


1. 펌프 용량과 유량 계산

  • 240L/h는 약 4L/min입니다.
  • 이 정도의 유량은 소형 및 중소형 수경재배 시스템에 적합하며, 일반적인 소형 호스로도 충분히 처리 가능합니다.

2. 적합한 호스 직경 선택

권장 호스 외경

  • 6mm 외경 (내경 약 4mm):
    • 4L/min의 유량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저압 시스템(1~2 bar)에서 적합하며, 대부분의 가정용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 8mm 외경 (내경 약 6mm):
    • 더 많은 유량을 필요로 하거나, 호스 길이가 길어 압력 손실이 우려되는 경우 적합합니다.
    • 펌프와 연결되는 메인 라인으로 적합하며, 분배 라인으로는 6mm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유량에 따른 압력 손실 고려

호스 직경이 너무 작으면 압력 손실이 발생하여 유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호스 길이가 짧거나 시스템이 간단한 경우: 6mm 외경 사용 가능.
  • 호스 길이가 길거나 높은 위치로 영양액을 이동시킬 경우: 8mm 외경 이상 권장.

4. 필터와 연결 부품 고려

  • 펌프 앞에 필터를 설치하여 이물질로 인한 막힘을 방지하세요.
  • 사용하려는 피팅과 호스 외경이 호환되는지 확인하세요.

결론

  • 펌프 용량이 240L/h인 경우, 호스 외경 6mm가 적합합니다.
  • 그러나 호스 길이가 길거나 시스템 확장이 예상된다면, 메인 라인에 8mm 외경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방식은 효율적인 유량 유지와 압력 손실 방지에 도움을 줍니다. 😊

 

 

추가로, 왜 이런 결론이 내렸는지도 궁금해서 질문을 했습니다.

호스와 펌프 용량을 계산하는 공식이 이나, 표가 있으면 알려주세요.

 

아래는 ChatGPT로 정리하였습니다.

 

호스와 펌프 용량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공식과 기준은 유체 역학의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합니다. 아래는 계산 공식, 참고 표, 그리고 적용 방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주요 공식

a. 유량(Q)

유량은 펌프가 시간당 전달하는 유체의 양입니다.

Q=A⋅v

  • Q: 유량 (m ³ /s 또는 L/s)
  • A: 호스 단면적 () = πr ² ,  r은 호스의 내경 반지름
  • v: 유속 (m/s)

b. 압력 손실 (Darcy-Weisbach 방정식)

호스 길이에 따라 압력 손실을 계산합니다.

ΔP=fDL2ρv2

  • ΔP: 압력 손실 (Pa)
  • f: Darcy 마찰 계수 (호스 재질과 유체 흐름 상태에 따라 결정)
  • L: 호스 길이 (mm)
  • D: 호스 내경 (mm)
  • ρ: 유체 밀도 (kg/m³) (물은 약 1000kg/m ³)
  • v: 유속 (m/s)

c. 펌프 요구 압력 계산

  • Ppump: 펌프가 극복해야 하는 전체 압력 (Pa)
  • ΔP: 호스 길이에 따른 압력 손실 (Pa)
  • h: 수두 높이 (mm)
  • g: 중력 가속도 (9.81m/s²)

2. 호스 크기와 유량 참고 표

아래 표는 호스 내경에 따른 대략적인 유량과 적정 유속을 나타냅니다.

호스 내경 (mm) 유량 (L/min) 적정 유속 (m/s) 압력 손실 증가율
4mm 1~3 0.5~1.0 높음
6mm 4~8 0.5~1.5 중간
8mm 8~16 0.5~2.0 낮음
10mm 16~30 0.5~2.5 매우 낮음

3. 적용 방법

  1. **펌프 용량(Q)**를 확인합니다 (예: 240L/h = 4L/min).
  2. 호스 내경을 선택합니다.
    • Q=A⋅v 에서 v0.5 1.5m/s로 설정하고 적합한 내경을 찾습니다.
  3. **압력 손실 (ΔP)**를 계산하여 펌프가 이를 극복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4. 필요하면 유량/압력 요구사항에 따라 호스를 업그레이드합니다.

예시 계산

  • 펌프: 240L/h = 4L/min = 0.0000667m ³ /s
  • 호스 내경: 6mm (r=0.003m)

v = Q / A = 0.0000667 / 0.00002827 ≈ 2.36m/s

 

  • 이 경우, 유속이 높으므로 8mm 내경으로 변경하면 유속이 줄어 압력 손실이 감소합니다.

결론

펌프 용량과 호스 크기를 계산하는 공식과 표를 활용하면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가 가능합니다.

위 공식과 표를 참고하여 적합한 호스 내경을 선택하세요. 😊

 

 

 

그리고, 마지막 질문.

수경펌프가 100L/h 이면, 6mm 호스로 2m 높이로 물을 이동시킬 수 있나요?

 

아래는 ChatGPT로 정리하였습니다.

 

 

펌프 용량이 100L/h이고, 6mm 호스를 사용하여 2m 높이로 물을 이동시키려면, 펌프의 **압력 헤드(수두)**와 호스 내에서의 압력 손실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1. 펌프의 기본 수두 계산

  • 펌프가 물을 2m 높이로 이동시키려면 최소한의 수두가 필요합니다.
  • 수두(압력 헤드, hh)에 따른 압력 요구:

Prequired=ρ⋅g⋅h

  • ρ=1000 kg/m ³  (물의 밀도)
  • g=9.81 m/s²  (중력 가속도)
  • h=2 m

Prequired = 1000 x 9.81 x 2 = 19620 Pa (≈0.2 bar)

 

따라서 펌프가 최소 0.2 bar의 압력을 제공해야 2m 높이로 물을 올릴 수 있습니다.


2. 호스 내 압력 손실 계산

압력 손실은 호스 길이와 직경, 유속에 따라 결정됩니다. Darcy-Weisbach 방정식을 간략화하여 계산합니다:

 

ΔP=f x L/D x ρv ² /2

입력값:

  • L=2 m (호스 길이)
  • D=6 mm = 0.006 m (호스 내경)
  • ρ=1000 kg/m³ (물의 밀도)
  • Q=100 L/h = 0.0000278 m ³ /s
  • 단면적 A = π⋅r2 = 3.14 ⋅ (0.003) ²  = 0.00002827 m ² 
  • 유속 v = Q/A = 0.0000278 / 0.00002827 ≈ 0.98 m/s

마찰 계수 (ff):

  • 소형 호스의 경우 f≈0.03 로 가정.

압력 손실 계산:

ΔP = 0.03 ⋅ 2/0.006 ⋅ 1000⋅(0.98)² / 2

ΔP = 0.03 ⋅ 333.33 ⋅ 480.1 ≈ 4800 Pa (≈0.048 bar)


3. 총 압력 요구량

총 압력 요구량은 호스의 압력 손실과 높이에 따른 수두를 합한 값입니다:

 

Ptotal = Prequired + ΔP = 0.2 bar + 0.048 bar = 0.248 bar


4. 펌프의 성능 확인

펌프가 100L/h의 유량을 유지하려면, 펌프의 최대 수두(헤드)가 2.5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소형 수경재배 펌프의 수두는 1.5m~3m 사이에 있으므로, 다음을 확인해야 합니다:

  • 펌프 사양에 수두가 2.5m 이상으로 명시되어 있다면 가능합니다.
  • 수두가 2.5m 미만이면 유량이 감소하거나 물이 2m 높이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결론

  • 6mm 호스와 펌프로 2m 높이로 물을 이동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펌프의 수두(최대 높이 지원)가 2.5m 이상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펌프의 수두가 부족하다면, 8mm 호스로 업그레이드하거나 펌프를 교체하는 것을 고려하세요.
  • 펌프 성능이나 유량이 궁금하다면 사양을 확인 후 추가로 문의 주세요! 😊

 

청경채에서 3번째 줄기 갈변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잘 커는 줄 알았는데 또다시 줄기가 마르고 있네요.

물이 부족하지도 않는데, 청경채만 양액 농도가 높은 건지, 물을 안 먹는 건지 못 먹는 건지... 흠;;;

 

 

 

그래서, ChatGPT에 질문을 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체크했을 때, 특별한 항목은 없습니다. 그런데, 벌써 3번째란 말이죠.

일단, 배양액 농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고, 오른쪽 재배기에서 빛이 그나마 약한 곳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현재는  빛과다 또는 과습으로 의심이 됨.)

 

다른 청경채도 이동했습니다. 좀 더 관찰을 해봐야 겠습니다.

 

 

ChatGPT에 줄기가 마르는 이유를 물었습니다.

 

 

수경재배 중 청경채의 줄기가 마르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과 그 해결책을 살펴보겠습니다.


1. 수분 부족

  • 원인: 수경재배용 용액의 수위가 낮아 뿌리가 물에 닿지 않거나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지 못할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해결책:
    • 수경재배 용액의 수위를 확인하여 뿌리가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유지하세요. (▶이상 없음)
    • 물이 증발하거나 감소했는지 자주 점검하세요.

2. 영양 부족

  • 원인: 수경재배에 사용하는 영양분 용액(배양액)이 부족하거나 불균형하면 식물이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얻지 못해 줄기가 마를 수 있습니다.
  • 해결책:
    • 적절한 농도의 배양액(EC 값을 기준으로 확인)을 사용하세요. (▶이상 없음)
    • 식물 성장 단계에 따라 적합한 영양소를 제공하세요.

3. 환경 조건 불량

  • 원인:
    •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때. (▶이상 없음)
    • 습도가 낮아 증발량이 많아질 때. (▶이상 없음)
    • 빛의 세기가 너무 강하거나 약할 때. (▶이상 없음)
  • 해결책:
    • 온도를 18~25℃로 유지하세요. (▶이상 없음)
    • 습도를 50~70%로 유지하세요. (▶이상 없음)
    • 적절한 광량(6~8시간의 직사광선 또는 인공조명)을 제공합니다. (일조량 질문했을 때 ▶이상 없음)

4. 질병 또는 해충

  • 원인: 곰팡이, 박테리아, 또는 해충의 공격으로 인해 식물 조직이 손상되어 줄기가 말라갈 수 있습니다.
  • 해결책:
    • 병충해가 있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하세요. (▶이상 없음)
    • 문제가 발견되면 적절한 방제제를 사용하거나 병든 부분을 제거하세요. (▶이상 없음)

5. 뿌리 문제

  • 원인: 뿌리가 썩었거나 산소가 부족할 경우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해 줄기가 말라갈 수 있습니다.
  • 해결책:
    • 수경재배 시스템의 산소 공급(에어펌프 또는 공기 주입)을 확인하세요. (▶이상 없음)
    • 뿌리가 건강한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썩은 뿌리가 있다면 제거하세요. (▶이상 없음. 뿌리만 봤을 때 건강함)

6. 배양액의 pH 문제

  • 원인: pH가 적정 범위(5.5~6.5)에서 벗어나면 영양소 흡수가 방해됩니다.
  • 해결책:
    • pH 미터로 배양액의 pH를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필요하면 pH 조절제를 사용하세요. (▶이상 없음. 약 6pH)

이러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점검하여 적절히 대응하면 청경채의 줄기 마름 현상을 해결하고 건강한 성장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end.

'수경재배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케아 광명 수경재배 모습  (2) 2024.12.13
수경재배기 밝기조정  (0) 2024.12.13
씨앗 발아 상황 (D+22)  (1) 2024.12.08
씨앗 발아 상황 (D+13)  (2) 2024.11.29
수경재배기에 포함된 영양제  (0) 2024.11.26

 

2024-11-16 21시 씨앗 심기 (D+0)

2024-12-08 21시 발아 상황 (D+22)

 

잘 자란 채소와 다시 모종 단계를 시작하는 포트가 늘어나서, 

한쪽 재배기는 배양액 농도를 올려서 본격적으로 재배를 시작하고, 다른 쪽은 다시 발아를 하기 위해서 채소를 재배치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처음부터 스펀지위에 씨앗을 놓고 키우면 아래 큰 상추처럼 잘 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자리를 못 잡았습니다.

 

원인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스펀지 아래로 뿌리를 내려야 하는데, 절반의 식물은 뿌리가 스펀지 안에서 돌돌 말리고, 아래로 뚫고 내려가지 못했습니다.

   => 이경우는 1) 씨앗을 따로 발아하고, 뿌리가 조금 나온 상태에서 스펀지로 옮기는 게 좋을 것 같고,

   =>  그리고, 스펀지에 뿌리가 자리 잡을 수 있게, 칼로 수직으로 잘라주었습니다.

 

2. 일부 식물은 뿌리가 나온 후 뿌리가 갈변하고, 더 이상 성장하지 못했습니다. (청경채 경우)

   => 씨앗을 교체해 주었습니다. 절반 이상은 그 이후 싹까지 잘 났습니다.

 

3. 씨앗이 발아할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치커리, 바타비아 경우)

  => 바타비아는 씨앗을 교체했습니다. 절반 이상은 그 이후 싹까지 잘 났습니다.

      제가 산 바티비아는 발아율이 50% 도 안 되는 것 같습니다.

 => 치커리는 결국 발아에서 제외했습니다. 다른 채소를 좀 기른 후에 치커리 씨앗만 따로 발아를 해보려 합니다.

 

모종 (떡잎을 제외하고 잎은 5장 정도)까지 키우는 것도 쉽지가 않네요. 꼭 어린아이 100일까지 케어하는 것 같아요.

 

상추는 100% 싹이 잘나고 자리도 빨리 잡지만, 나머지 채소는 적응을 잘 못합니다.

도시 촌놈이라 식물을 키우는 건 힘드네요.

 

end.

 

 

왼쪽 수경 재배기 상황 (잎에 붉은색이 보이는 채소는 적상추입니다.)

 

재배기의 가로, 세로가 43cm x 19cm입니다. 결국, 식물 간 거리 문제가 생겨서 가운데 포트는 비워두기로 했습니다.

 

 

오른쪽 수경 재배기 상황

 

어떤 포트는 3번째 씨를 심었습니다. 다음부터는 씨를 따로 발아 후에 옮기려 합니다.

'수경재배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경재배기 밝기조정  (0) 2024.12.13
청경채 줄기 갈변 현상  (0) 2024.12.08
씨앗 발아 상황 (D+13)  (2) 2024.11.29
수경재배기에 포함된 영양제  (0) 2024.11.26
씨앗 발아 상황 (D+4)  (0) 2024.11.26

 

TDS와 EC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경재배를 할 때, 양액의 ppm(TDS: Total Dissolved Solids 총용존고형물) 과 pH(수소이온농도) 를 많이 신경을 써는데,

그중에서 비슷한 의미의 TDS와 EC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ppm은 영양상태를 측도가 되고,

    - ppm이 낮으면, 양액을 더 추가해야하고, ppm이 높으면 물을 희색해야합니다.

    - ppm값이 측정기로 일정하다고 하더라도, ppm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면,
      양액 농도가 짙은어서 물을 더 많이 흡수한다는 뜻으므로, 농도를 낮춰야 합니다.

 

2. pH(수소이온농도)는 식물이 양액을 흡수하기 위한 농도를 맞추기 위해 측정합니다.

   - 보통 식물은 6.0pH 정도를 좋아하고, 식물에 따라서 농도차이가 조금 있습니다.
     전문적으로 재배한다면, 생산력과 관려이 있으므로 권고하는 농도를 참조해야 합니다.

   - 가정에서 수돗물을 사용하면 보통 7pH가 넘기 때문에(알카리성), 산도조절제(보통 산성)를 넣어 6pH정도로 맞춥니다.

 

 

TDS와 EC에 대한 상세내용은 아래에 정리하였습니다.

 

아래 내용은 ChatGPT를 사용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수경재배에서 TDS(Total Dissolved Solids)와 EC(Electrical Conductivity)는 작물 재배에 중요한 물리적, 화학적 요소를 나타내며,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영양액의 품질과 농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1. TDS (Total Dissolved Solids, 총 용존 고형물)

  • 정의: 물 속에 녹아있는 모든 고형 물질(무기 염류와 유기 물질)을 측정한 값.
    주로 칼슘(Ca), 마그네슘(Mg), 나트륨(Na), 칼륨(K), 질산염(NO₃⁻), 황산염(SO₄²⁻) 등의 영양소 농도를 포함합니다.
  • 단위: ppm (parts per million)
  • 역할:
    • 작물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가 적절히 포함되어 있는지 평가합니다.
    • TDS가 너무 낮으면 작물이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할 수 있고, 너무 높으면 작물에 염분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측정 방법: TDS 미터로 측정하며, EC 값을 바탕으로 TDS를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 TDS = EC × 계수, 일반적으로 500~700 사용)

2. EC (Electrical Conductivity, 전기 전도도)

  • 정의: 물 속의 이온(전기 전도에 기여하는 영양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물의 전기 전도성을 나타냅니다.
    영양소 농도가 높을수록 전도도가 증가합니다.
  • 단위:         mS/cm (밀리지멘스 퍼 센티미터)
             또는 μS/cm (마이크로지멘스 퍼 센티미터)  <-- 수경재배기에서는 이 단위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 역할:
    • 영양액 농도가 적절한 범위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 EC 값이 너무 낮으면 영양소 부족, 너무 높으면 과잉 염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측정 방법: EC 미터로 간단히 측정 가능합니다.

TDS와 EC의 관계

  • TDS는 EC를 기반으로 추정됩니다. TDS는 EC 값에 변환 계수를 곱한 값으로, 이 계수는 물에 포함된 이온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 일반적인 변환 공식: TDS (ppm) = EC (mS/cm)×계수(500 ~ 700)
  • TDS는 더 직관적으로 실제 용해된 물질의 양을 나타내고, EC는 전기적 특성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농도를 측정합니다.

적절한 TDS와 EC 값 (작물별로 다름):

  • 잎채소: EC 1.0-1.5 mS/cm, TDS 500-750 ppm
  • 과채류: EC 2.0-3.0 mS/cm, TDS 1000-1500 ppm
  • 허브류: EC 0.8-1.2 mS/cm, TDS 400-600 ppm

중요성

  • TDS와 EC 값은 작물의 종류, 생육 단계, 수온 등에 따라 조절해야 합니다.
    • 초기 생육 단계: 상대적으로 낮은 값
    • 성장기/결실기: 더 높은 값

정기적으로 TDS와 EC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영양 공급과 작물의 건강한 성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nd.

 ph테스터 교정 후기 입니다.

ph테스터 사용 시 오차가 많이 나서 2가지 제품에 대해서, 교정을 진행했습니다.
 
1. 흰색은 Juanjuan 측정기 (TDS, EC, 염분, pH 측정) - 약 $10

  - 매뉴얼 보면 EZ-9909SP 모델로 보입니다. 제품이 복제품인지, 제품 외관이 제품명같은게 없네요.
    aliexpress.com 에서 해당 모델로 검색하면 제품이 나옵니다.
2. 노란색은 pH Meter (pH 측정 전용 제품) - 약 $2
두 제품 모두 aliexpress.com에서 구매했습니다.

 - 2025.03.16 pH농도 수치 이상. 교정이 필요하거나 고장이거나. 교정 후 오류인지 확인 필요 함.

  => 원인: 배터리를 교환하면, 교정을 다시하라고 매뉴얼에 되어 있네요. (1번. 제품도 동일함)
                (교정하다가 얼마전에 배터리를 열어본 기억이 나네요. ㅋㅋ)
1) 알리에서 2개 더 사서, 3개 한번에 교정을 다시 했네요.

2) 그리고, CAL 버튼도 너무 오래 누르면 교정모드로 들어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교정은 pH standard powder 를 이용해서, 진행하고,
powder는 pH4.01, pH6.86, pH9.18 농도가 있고, 위 그림처럼 온도 25℃  기준이고, 
만약 온도가 차이나면 약간의 농도차이가 납니다.
 

 
그리고, 중요한게 그냥 수돗물, 정수기 물을 사용하면 안 되고, 탈이온수(De-Ionized Water)를 사용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탈이온수는 쿠팡(coupang.com)에서 구매가 가능했습니다. 처음에는 증류수를 사용하려고 했는데, 증류수와 탈이온수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아쉽게도, 교정은 25℃ 에서 진행하지 못하고, 약 18~19℃ 에서 진행했습니다.
 
먼저, 각 파우더를 250ml에 녹였습니다. 그리고, pH페이퍼로 측정했습니다.
맨 좌측 스탠컵은 파우더를 섞지 않은 탈이온수입니다.
(이상적인 탈이온수는  7pH로 연두색이어야 하는데,  특이하게 pH페이퍼가 물만 흡수하고, 색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먼저, 교정하기 전에, 탈 이온수의 pH농도를 측정했습니다.
1. 흰색 측정기 : 약 7.0pH (실제 측정치는 7.02 / 7.00 / 6.98 / 6.99 / 6.96 이렇게 측정되었습니다.)
2. 노랑 측정기 : 약 7.5pH
ps. 탈이온수의 이상적인 pH 값은 7.0 pH라고 합니다.
 

 

그리고, 흰색 측정기 교정을 진행하였습니다.
흰색은 pH 모드에서 "MODE/CAL"버튼을 6초 누르면, 액정에 "CAL" 표시되면서 교정을 진행합니다.
 
자동 교정으로 pH 농도 4.01, 6.86, 9.18을 인식하고 교정한다고 매뉴얼에는 되어 있으나,
(측정모드에서 표준 pH 표시 후,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치가 다시 표시됩니다.)
9.18pH는 6.86pH으로 인식해서 더 이상 교정은 진행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9.18pH 실패 후, 6.86pH 교정을 다시 실시했습니다.
 

 
교정 후, 탈이온수의 pH값은 6.92pH 입니다. 이전 약 7.0pH와 별 차이가 없네요.
 
 
 

 
다음으로, 노랑 측정기 교정을 진행했습니다.
노랑 측정기는 아래 버튼 CAL 버튼을 5초 누르면, 액정에 pH농도(4.01,. 6.86) 표시되면서 교정을 진행합니다.
이 측정기의  교정은 4.01, 6.86 두 가지만 인식합니다.
 

 
교정 후, 탈이온수의 pH값은 6.26pH입니다. 이전 약 7.55pH와 별 차이가 많이 나네요.
노란색 측정기가 좀 신뢰가 안 가는 듯합니다. 탈 이온수 농도와 너무 차이가 나죠.
좀 아쉬운 게 6.26 외에 재 측정을 몇 번 더 했어야 했는데, 못했네요.
 
 

 
그리고, 교정된 측정기로 수돗물의 pH 농도를 측정했습니다.
흰색 측정기의 며칠 전 기록을 보면 수돗물의 pH농도가 7점 중반, 8.06pH였는데,
오늘은, 흰색 측정기는 6.94pH, 노랑 측정기는 7.18. (흰색측정기 변화 약 7.8 ~ 8.0pH => 6.94pH)
 
이상하게 노란색이 더 정확해 보입니다. 그래서, 위 탈이온수 재측정을 못한 게 너무 아쉽습니다.
 
 

 
대망의 수경재배기의 pH농도입니다.
원래 같이 농도를 맞췄는데, 왼쪽 물이 조금 더 말랐고, 어제 양액을 추가해서 차이가 납니다.
며칠 전 흰색 측정기의 교정 전 값 7.8pH에서 흰색은 5.78pH, 6.11pH로 수정되었습니다.
 
희한하게 노란색 측정기가 그래도 값은 비슷하게 나옵니다.
 

 
측정기 후, pH페이퍼로 다시 확인해 봅니다.
미세하게 pH농도가 조금 높은 우측이 살짝 연두색이 보였고, 왼쪽은 노란색만 보입니다.
 
 
결론,
살짝 아쉬점이 있지만, 교정 후 값은 의미 있는 값으로 보입니다.
노랑 측정기가 값은 싸지만, 두 제품 차이가 약 0.2pH라서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흰색측정기는 TDS, EC, 염분, 온도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흰색 추천하지 않음. ( 2024-12-25 내용 추가)

- 이유: TDS와 pH값이 양액에 계속 두면, 값이 안정화 되지 않고 계속 내려 갑니다.
            노랑 제품은 일정 수치를 유지해서 노랑 제품 추천드립니다


 
※ 측정치 정리

  교정전 교정후
측정기 수돗물 탈이온수 탈이온수 수돗물 수경재배기-왼쪽 수경재배기-오른쪽
흰색 8.06
(2024.11.30)
7.0 6.92 6.94 5.78 6.11
노랑 - 7.55 6.26 7.18 5.98 6.32

 
 
end.
 

 

수경재배를 시작하면서, 여기 수돗물은 약 염기성이라는 걸 알게됐습니다.

pH페이퍼로 보면 7.* 점 대, aliexpress.com에서 산 측정기로는 앞전에 7.83 정도 나왔네요.

그래서, 오늘 다시 궁금해서 측정해 봤습니다.

 

 

pH페이프로 수돗물을 측정한 경우, 7보다는 진하고 8보다는 많이 연합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조금 더 진하게 보입니다. (아래 사진이 1-2분 후 다시 확인 했을 때 색상)

 

 

 

그리고, 측정기에서 측정한 값입니다. 몇일전은 7.83 이었는데,  오늘은 8.06 네요.

이 지역에 큰 눈이 내린 후라서 영향이 있는지도 모르겠네요.

 

그래도, 측정기 값은 참 신뢰기 안갑니다. 처음에 pH보정을 하다가 리셋했는데,

그때 중간에 0.4 정도 낮게 나온 것 같습니다. 교정을 위한 시료가 오면 다시 교정을 해봐야 겠네요.

 

그래도, 수돗물의 수소이온농도가  7점대 중반 정도는 정상일까 라는 의문이 듭니다.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군포시상하수도 : https://www.gunpo.go.kr/sudo/index.do

 

2024.11.4 에 측정한 원수 수질검사에서 수소이온농도는 7.4 pH 네요.

 

 

 

그리고, 아래 매뉴 "정수장 수질검사(월) 결과" 를 보면,

2024.11.8 에 측정한 수소이온농도는 7.5 pH 입니다.

 

 

맨아래 수돗물품질보고서를 보면, 연간 자료가 있는데,

수질용어 정의에는 7pH 전후의 물이 음용에 적합하고, 수질 기준은 5.8 ~ 8.5 pH사이라고 하네요.

 

 

 

참고로, 2024.11.27 서울시 아리수 정수센터의 수소이온농도 자료 입니다.

7.2 ~ 7.4 정도로 유지되고, 여기도 기준은 5.8 ~ 8.5 pH이네요.

결국 요즘 우리가 마시는 수돗물은 약 염기성 이네요.

 

※ 서울아리수본부 : https://arisu.seoul.go.kr/c2/sub6_1_1.jsp

 

 

토양에서 재배하는 경우, 비료에 산성성분이 있어서 약산성으로 바뀐다고 되어있네요.

그리고, 너무 산성화 되면 석회를 섞어서 중화시킨다고 합니다.

 

수경재배의 경우, 양액을 섞은 후, pH 농도 조절은 필 수 인 것 같습니다.

 

 

아래는 ChatGPT에 물어본 수수이온농도정보입니다.

 

 

pH 농도는 수소이온농도(potential of Hydrogen)의 약자로, 물질이 산성, 중성, 또는 염기성(알칼리성)인지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수용액 내 수소 이온(H⁺)과 수산화 이온(OH⁻)의 농도를 기반으로 측정됩니다.

pH 척도

  • pH 값은 0부터 14까지의 범위를 가집니다.
    • pH 7: 중성 (예: 순수한 물)
    • pH < 7: 산성 (예: 레몬즙, 식초)
    • pH > 7: 염기성(알칼리성) (예: 비누, 암모니아 용액)

pH 측정 원리

  • 수소 이온 농도의 음의 로그 값을 계산하여 pH를 나타냅니다. pH=−log⁡[H+]\text{pH} = -\log [H⁺]
    • 여기서 [H+][H⁺]는 수용액 내 수소 이온의 몰 농도입니다(단위: 몰/L).

pH의 중요성

  1. 물의 품질 관리:
    • 수돗물의 pH는 일반적으로 6.5~8.5 범위로 유지되어야 안전합니다.  (<== 우리 규정보다 엄격한 값이네요)
    • 너무 산성이나 알칼리성일 경우 배관 부식, 건강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환경 모니터링:
    • 강, 호수 등의 pH는 생물의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pH가 극단적으로 변하면 생태계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3. 산업 분야:
    • pH 조절은 식품, 제약, 화학 공정 등에서 필수적인 공정입니다.

pH와 일상

  • 산성: 식초(pH 약 2.5), 레몬즙(pH 약 2), 커피(pH 약 5)
  • 중성: 순수한 물(pH 7)
  • 염기성: 비누(pH 약 9), 표백제(pH 약 12)

 

end.

 

 

 

ps. 오늘의 수경재배기  수소이온농도

 

재배기의 왼쪽과 오른쪽의 농도를 테스트 했습니다. 

pH페이프로 보면 6.0에 가깝게 보입니다.

 

 

그리고, 재배기의 측정기 값은 역시 왼쪽은 7.07, 오른쪽 6.94 이네요.

대략 0.5 오차가 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측정기는 교정 후 다시 해봐야 겠어요. 

 

 

 

수경재배용 LED 구매 실패 후기입니다.

 

 

aliexpress.com에서 수경재배용 LED를 싼값에 구입했습니다.

그런데,,, 그런데,,, 너무 어둡습니다. 하...

그래서, 다시 제품의 스펙을 확인해 봤습니다.

(실제 제품은 양쪽 연결잭이 흰색으로 깔끔한 게 왔습니다.)

 

용어 설명을 보면, 밝기(lux, lx)가 787입니다. 망했습니다.

LED - 6개에 $9.45였습니다. 그냥, 사진 보고 밝겠지 하고, 혼자 추측했네요.

용어 단위 측정 대상 주요 용도
Illum lux 가시광선 밝기 일반 조명 평가
PPFD µmol/m²/s 광합성 가능한 광자 밀도 식물 성장 조명 성능 평가
PAR nm (400~700nm 범위) 광합성 활성 범위 식물 성장에 적합한 빛 평가
PeakWave nm 가장 강한 방출 파장 특정 파장의 생리학적 효과 확인
CCT K (켈빈) 빛의 색상 (연색온도) 조명 색조 및 환경 조성 평가

 

 

LED 1개와 2개에 대해서, 높이 26cm 에서 밝기를 측정했습니다.

1개 일 때는 7.1EV (343 lux), 2개 일 때는 8 EV (640 lux)입니다.

제품 스펙에 있는 밝기는 1m 기준인데, 343 lux는 말도 안 되는 수치네요.

 

 

참고로, 다른 제품을 한 번 찾아봤습니다.

해당 제품에서 백색광 영역의 정보입니다. 일단 밝기(lux, lx)만 보면, 29,518이네요.

LED - 1 개당 $10 정도 됩니다.

 

 

 

역시, 옛말 틀린 게 없네요. 싼 게 비지떡이다!!!

잘 확인하고 구매해야 할 것 같습니다.

 

end.

 

 

 

식물이 양액에서 영양을 잘 흡수하려면, pH 산도가 약 산성이어야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양액의 산도가 궁금해서 산도측정기를 구입했는데, 산도가 7.0 pH를 넘네요.

 

순수 물이 7 이고, 현재 집에서 받은 수돗물은 7을 넘네요.

aliexpress.com 에서 구입한 산도측정기를 교정했는데, 수치가 영 이상해서 

결국 쿠팡에서 pH페이퍼도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아래 두가지 모델을 구입했는데, 좌측 모델은 너무 색이 흐려서 구분이 안가고,

우측 모델은 색 구분이 잘되서 만족스럽네요.

 

 

pH페이퍼로 측정 후 산도측정기 수치를 보면 어느 정도 이해가 갑니다.

(위쪽 pH페이퍼 결과는 7이상, 아래는 그 때 산도측정기의 수치 7.8pH)

 

 

ps. 참고로 아래는 산도측정기 교정법 입니다. 어제 pH4, pH6.86 만 조정하고 값이 이상해서 리셋했네요

다시 pH Standrad solution 을 사서 교정해봐야 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