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빛 관련 내용 밝기

2024.11.26 - [수경재배도구] - 수경재배기 전력사용량 과 빛의 밝기 (EV와 lux 변환식)

2024.12.13 - [수경재배정보] - 빛의 밝기와 지속시간

2025.01.03 - [수경재배정보] - 뽁뽁이, 투명비닐, 산란필름 비교

 

수경재배 작물의 TDS와 pH 적정 수치

2024.12.05 - [수경재배정보] - TDS와 EC에 대해서

2024.11.26 - [수경재배정보] - 수경재배 기준 주요 작물의 적정 TDS와 pH

 

2025.01.05 - [수경재배정보] - 농도(EC, TDS)관리

2025.01.05 - [수경재배정보] - 산도(pH) 관리


2024.12.05 - [수경재배도구] - TDS측정기 사용 후기

2024.12.05 - [수경재배도구] - ph테스터 교정 후기

2024.11.27 - [수경재배도구] - 산도측정기, pH페이퍼 후기

2024.11.27 - [수경재배도구] - 산도조절제 사용 후기

 

■ 수경재배기 관리

2025.01.25 - [수경재배정보] - 수경재배기 청소주기

 

■ 씨앗 발아 관련 정보
2025.01.06 - [수경재배정보] - 광 및 온도 조건에 따른 엽채류 초기 광발율

 

■ 생리장애

2025.01.07 - [생리장애] - 팁번#2

2025.01.25 - [생리장애] - 뿌리 갈변

2025.01.25 - [생리장애] - 수경재배 양액의 pH염기성 변화

 

■ 작물별 주요 특징

2025.01.07 - [수경재배정보] - 작물별 주요특징 - 상추

2025.01.26 - [수경재배정보] - 작물별 주요특징 - 청경채

2025.01.16 - [수경재배정보] - [요약] 잎들깨

2025.01.18 - [수경재배정보] - [요약] 부추

 

■ 수경재배 방식

2025.01.18 - [수경재배정보] - 저면담배수 방식 / Ebb-and-Flood 재배기

 

■ 수경재배 장비 관련

2024.12.10 - [수경재배정보] - 수경재배를 위한 워터펌프 용량에 대해서

2024.12.27 - [수경재배도구] - 수경재배를 위한 PVC 호스

 

■ 관련 사이트

2024.12.13 - [관련사이트,책] - (사이트 소개) 농사로

2024.12.13 - [관련사이트,책] - (사이트 소개) 농업과학도서관

2024.12.13 - [관련사이트,책] - (사이트 소개)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end.

 

 

 

 

청소주기 요약

청소 부위 주기 주의사항
물통/수조 2~4주마다 물때 제거, 세척 후 말리기
재배 트레이/뿌리 재배 사이클마다 뿌리 찌꺼기 완전 제거
LED 조명/커버 1달마다 마른 천으로 닦기
필터(있는 경우) 1~3달마다 교체 또는 세척

 

 

 

ChatGPT질문:
수경재배기의 청소 주기를 알려주세요.

 

 

식물재배기에서 청소 주기는 **사용 빈도, 재배하는 식물 종류, 환경 조건(습도,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의 주기를 추천합니다.


1. 일반적인 청소 주기

  • 물통/수조 청소:
    • 2주~4주에 한 번: 물때, 이끼, 미생물 번식 방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청소하세요. (==> 뿌리 갈변의 윈인이 될 수 있음)
    • 새로 물을 채울 때마다 물통 내부를 간단히 헹구고, 한 달에 한 번은 식초나 희석된 중성세제를 사용해 깨끗이 세척하면 좋습니다.
  • 재배 트레이/식물 심는 부분:
    • 재배 사이클마다(새 작물을 시작하기 전): 작물 재배가 끝난 후 트레이나 심는 부분에 남아 있는 뿌리, 흙, 영양제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깨끗이 청소하세요.
    • 곰팡이나 병원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가 필요합니다.
  • LED 조명/커버 외부:
    • 한 달에 한 번: 조명 표면이나 외부 커버에 먼지가 쌓이면 빛 투과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주세요.
  • 필터(있는 경우):
    • 1~3개월에 한 번: 공기 순환 필터나 물 순환 필터가 있는 경우, 정기적으로 교체하거나 세척하세요.

2. 상황별 청소 주기

  • 조기 이상 발견 시:
    • 물 냄새가 나거나, 이끼가 생기거나, 물이 탁해지면 바로 청소가 필요합니다.
    • 재배기 안에 곰팡이나 벌레가 발생한 경우 즉시 세척해야 합니다.
  • 고온다습한 환경:
    • 여름철처럼 온도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청소 주기를 더 짧게(2주마다) 설정하세요.
    • 물 속 미생물 번식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3. 청소 방법

  1. 물통/수조 청소
    • 물을 완전히 비우고, 남은 물때나 이물질은 부드러운 스펀지로 닦습니다.
    • 식초(1:10 비율)나 중성세제를 이용해 닦은 후, 물로 깨끗이 헹궈주세요.
    • 청소 후에는 물기를 완전히 말려주면 더 위생적입니다.
  2. 트레이 및 뿌리 부분 청소
    • 식물의 잔여 뿌리와 흙 찌꺼기를 모두 제거합니다.
    • 소독용 알코올(또는 희석한 소독제)로 닦아 병원균 번식을 방지합니다.
  3. LED 조명 및 커버 닦기
    • 부드러운 천이나 마른 티슈로 닦아 먼지 제거.
    • 물이나 화학제품이 LED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4. 필터 교체 및 세척
    • 필터는 사용 설명서에 따라 교체하거나, 물로 헹궈 다시 사용합니다.
    • 교체 시기가 되지 않았더라도 먼지가 심하게 쌓여 있으면 세척하세요.

 

end.

 

기존 수경재배기 2대 중 오른쪽은 발아용으로 사용하기로 하고,

키우던 녀석들은 발코니에 있는 DIY수경재배기로 옮겼습니다.

 

 

이케아 선반 폭이 60cm 인데, 아무찾아도 폭60cm 리빙박스를 구하지 못해서 아래와 같이 1층에 큰 박스와 작은 박스를 하나씩 뒀습니다.

가운데 깻잎 뒤는 티피링크 스마트 온습도센서 입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스마트 플러그를 설정했습니다.

- 스마트 플러그2번(맨위): 각 층의 T5 LED 전원을 on/off 하도록 설정했습니다.

- 스마트 플러그3번: 어항히터 전원으로 전력 모니터링 목적으로, 자동화 on/off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 스마트 플러그4번: 수중펌프로 양액을 순환시킵니다.

 

 

'수경재배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S, pH 점검 2025-01-21(화)  (0) 2025.01.22
TDS, pH 점검 2025-01-19(일)  (0) 2025.01.13
추가 발아중  (0) 2025.01.07
TDS, pH 점검 2025-01-05  (0) 2025.01.05
발코니 수온, 실온 및 밝기 변환 기록  (0) 2025.01.02

 

 

참조. (농기술길잡이) 수경재배 > 제2장 작물별 수경재배 기술 > 8 엽채류 > 마. 생리 장애 p162

 

책에 엽채류의 주요 생리장애가 팁번이네요. ㅋ

 

1. 원인

- 고온기에 잎의 활발한 증상 작용에 비해 액온 상승에 의한 무기양분 흡수가 원할지 못해서 발생함.

- 칼슘의 흡수를 저해하는 높은 EC, 시설의 높은 습도

=> 칼슘 분해의 불균형을 일으켜 팁번 발생.

 

2. 대책

- pH를 5.5 ~ 6.5 범위 (=> 이상없음)

 

- EC는 1.2dS/m 이하로 관리 (600 ~ 840 ppm)

  => 기존농도가 800 정도여서, 기존 수치에서는 문제가 없었음. 현재 칼슘추가 후 농도 증가.

 

- 35% 이내의 차광을 해서 생육과 잎의 증상 작용을 억제함. (=> 빛을 높이거나, 광량을 줄이거나)

  => 집 실내온도는 23도로 엽채류에 약간 더운 상태임. 빛을 높이거나, 광량을 줄이거나 할 필요가 있음.

  => 일단, 왼쪽 수경재배기는 LED높이를 21cm 에서 3단봉 27.4cm 을 조정하고, 오른쪽 수경재배기는 LED높이를 4단봉 36.5 cm로 조정함.

  => 2단계 3단봉과 3단계 4단봉은 빛의 밝기가 거의 비슷하나, 혹시 LED열에 의한 영향도 고려하여 높이를 높여 광량을 줄이기로 했습니다. 팁번이 해결되면 LED를 줄이고 봉높이를 낮출 예정입니다.

ps. 다른 조건을 검토해도 결국은 실내 온도와 LED열이 문제 일듯 함.

LED밝기 단계 LED높이(cm) 수경재배기 구분 밝기(EV) 밝기(lux) 비고
3단계 21 왼쪽 재배기 11 5,120 기존밝기 - 20250106
3단계 (3단봉) 27.4 왼쪽 재배기 10.4 3,378 조정밝기 - 20250107
기존대비 광량 - 34% 줄임.
3단계 (4단봉) 36.5 왼쪽 재배기 10.0 2,560  
2단계 (3단봉) 27.4 왼쪽 재배기 10.1 2,744  
3단계 21 오른쪽 재배기 11 5,120 기존밝기  - 20250106
3단계 (3단봉) 27.4 오른쪽 재배기 10.3 3,152  
3단계 (4단봉) 36.5 오른쪽 재배기 9.8 2,229 조정밝기 - 20250107
기존대비 광량 - 56% 줄임.
2단계 (3단봉) 27.4 오른쪽 재배기 9.8 2,229  

 

end.

'생리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 갈변  (1) 2025.01.25
수경재배 양액의 pH염기성 변화  (0) 2025.01.25
뿌리섞음 (업데이트 2025-01-04)  (1) 2024.12.31
팁번 (바타비아, 상추, 앱채류)  (0) 2024.12.29
수경재배 양액의 산성화에 대해서  (2) 2024.12.25

 

적상추, 다채, 청경채는 웬만하면 잘 발아하고,

치커리, 쑥갓은 온도가 조금 더 따뜻해야 발아가 잘 된다고 합니다.

 

앞전에 치커리를 3주가 지나도 발아가 잘 안 되더라고요.

집 안 온도가 22~23 정도라서 그런가 봅니다.

 

 

참조. (농기술길잡이) 수경재배 > 제2장 작물별 수경재배 기술 > 8 엽채류 > 나. 파종 및 육묘 p157

 

 

그리고, 우레탄 스펀지(수경용 스펀지) 경우 수분관리를 해야 표 2-8-4와 같은 발아율이 나오고 나옵니다.

그림 2-8-2 오른쪽 그림을 보면, 트레이의 수위를 80 로 유지하고 발아했다고 되어 있네요.

 

현재 발아 테스트 중입니다. ^^

그리고, 발아 후 본옆이 3~4매 나왔을 때, 정식판에 옮길 예정입니다.

 

 

 

'수경재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 잎들깨  (0) 2025.01.16
작물별 주요특징 - 상추  (1) 2025.01.07
산도(pH) 관리  (1) 2025.01.05
농도(EC, TDS)관리  (0) 2025.01.05
뽁뽁이, 투명비닐, 산란필름 비교  (1) 2025.01.03

 

수경재배에 대한 전반적이고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작물별 수경재배 기술도 제공합니다.

 

1. 펴낸날 : 2021년 12월 17일 (개정4판)

2. ebook 보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b/psbx/cropEbookLst.ps?menuId=PS65290&sText=&pageIndex=1&pageSize=10&sKeyword=&sNameOrderAt=Y&group2Cnt=&cropEbookGubunChk=&sStdPrdlstCode=&sStdTchnlgyCode=&stdPrdlstCode=&sRdaStdPrdlstCode=&sRdaStdTchnlgyCode=&kidofcomdtyNo=0&sOldDtShowAt=N&sSearchText=&sSearchType=srchType02&cNo=143&stdItemCd=AE04AE46&cropsEbookNm=%EC%88%98%EA%B2%BD%EC%9E%AC%EB%B0%B0#

 

 

#목차

 

산도(pH)는 용액 내에 존재하는 수소이온(H+)의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0 ~ 14까지의 수치로 나타낸다.

 

배양액 산도(pH)는 양분의 용해도와 작물의 양분흡수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대부분의 작물은 토양재배와 수경재배에서 모두 pH 5.5 ~ 6.5 범위에서 대체로 생육이 왕성하다. 그 이유는 pH 5.5 ~ 6.5 범위에서 대부분의 무기양분의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 지기 때문이다.

 

작물의 이온흡수 특성에 따른 뿌리 주변부분(근권부) 배양액 pH변화를 보면 작물이 양이온(K+, NH₄, Ca²+, Mg ²+)을 흡수하면 뿌리에서 배양액으로 수소이온이 발출되어 뿌리 둘레(근권)의 pH가 낮아진다.

 

반대로 음이온(NO₃-, SO₄²-, H₂PO₄-)을 흡수하면 수산이온(OH-)이 방출되어 뿌리 둘레(근권) pH가 높아진다.

 

이러한 pH변화는 작물적 요인(작물의 종류, 품종), 생리적 요인(생식생장기, 영양생장기), 환경요인(지상부의 온.습도와 광도, 뿌리 주변(근권) 온도) 에 따라 배양액 내에 존재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흡수비율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뿌리 주변(근권)의 pH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은 수경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배양액 관리 중의 하나이다.

 

배양액의 pH는 5.5 ~ 6.5로 유지하는 것이 좋지만 5.0 ~ 7.0 의 범위에서도 작물 생육에는 지장이 없다.그러나, pH가 4.5이하로 떨어지면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성 염류가 양액에 녹지 않는다(불용화).

pH가 7.0 이상일 경우에는 철이 침전되어 작물 흡수가 어렵고,

8.0 이상이면 망간과 인이 불용화되기 쉽다.

 

생식생장기 동안에는 식물이 칼륨을 중심으로 양이온을 많이 흡수하여 뿌리 둘레(근권)의 pH가 낮아진다. 이때에 암모니아태질소가 함유된 비료염을 사용할 경우 뿌리 둘레(근권)의 pH가 더욱 낮아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중탄산칼륨(KHCO₃)과 같은 비료를 사용하며 중탄산칼륨은 칼륨의 공급원이 될 뿜만 아니라 동시에 중산탄이온(HCO₃-)이 pH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pH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ps. 참조자료. (농업기술길라잡이 191) 식물공장 / 제2장 인공광 식물공장 / 7. 수경재배 / 나. 배양액 관리 기술 / 2) 산도(pH)관리 (p133)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b/psbx/cropEbookLst.ps?menuId=PS65290&sText=&pageIndex=1&pageSize=10&sKeyword=&sNameOrderAt=Y&group2Cnt=&cropEbookGubunChk=&sStdPrdlstCode=&sStdTchnlgyCode=&stdPrdlstCode=&sRdaStdPrdlstCode=&sRdaStdTchnlgyCode=&kidofcomdtyNo=0&sOldDtShowAt=N&sSearchText=&sSearchType=srchType02&cNo=173&stdItemCd=AE04AE45&cropsEbookNm=%EC%8B%9D%EB%AC%BC%EA%B3%B5%EC%9E%A5#

 

농업기술길잡이 | 농사로

농업기술길잡이 목차 번호, 목차, 페이지

www.nongsaro.go.kr

 

5 pH 이하루 내려가면, 양분흡수가 어려워진다. (농업기술길잡이 / 수경재배 p.54)

 

 

현재 DIY수경재배기 경우, 아래 양액재배기에서 맨 위쪽까지는 호스 높이는 약 90 cm입니다.

현재 DIY수경재배기의 적당한 제품을 찾아봤습니다.

 

 

1. DC5V / USB플러그 / 브러시리스 / 150L/H

 

사양:
펌프 재료: PC
색상: 블랙
정적 유량: 150L/H               (==> 수경재배기 90cm 까지는 적당히 잘 동작하고 있습니다.)
정적 리프트: 100cm / 3.28ft
방수: IP68
온도 저항 범위: 0 ~ 60 ℃
사용 조건: 지속적으로
유체: 물, 기름, 가솔린, 산 및 알칼리 용액 등
전력 소비: 1.2W
정격 전압: 5V DC
전원 공급 장치: USB
노이즈: 35dB 미만
USB 케이블 길이: 150cm / 4.92ft
품목 크기: 4.5*3.5*6cm / 1.77*1.37*2.36 인치
패키지 크기: 6.5*6*5.5cm / 2.55*2.36*2.16 인치
패키지 무게: 96g / 0.21lb

 

 

2. DC5V / USB플러그 / 브러스리스 / 130L/H

 

Model 2415-1 / Qmax: 240L/H 제품을 주문했는데, Model 번호는 같은데,

Qmax 130L/H 제품이 왔네요. ㅠㅠ

 

1) 해당제품으로 8x10mm 호스로 122 cm 높이 까지 물을 올릴 수 있었습니다.

2) 그런데, 해당 제품 경우에 물에서 기름이 나왔습니다.

 

그 외 정보가 aliexpress.com 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3. DC3.5 ~ 9V / USB플러그 / 200L/H

 

 

1) 위 제품은 Qmax가 200L/H이나, DC가 3.5 ~ 9V 가변이라서 그런지, 8x10mm 호스로 67cm 높이까지만 물을 올릴 수 있었습니다. USB라서 5V 기준의 성능일 것 같고, 9V이면 더 높이 올릴 수 있을 것 같긴 합니다.

 

2) 그리고, 아래 그림에 보듯이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 같은 게 있습니다. 100% 열어도 USB에서는 67cm 변함이 없습니다.

 

 

 

* 제품 매개변수

전압: DC 3.5V ~ 9V

전력: 3W

유량: 200L/H

제품 크기: 39*38*28mm

물 배출구: 8mm

 

 

출력이 너무 낮은 펌프. 물이 67cm 밖에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적당한 펌프 찾기가 이렇게 어려울 줄이야.

결국 1번 제품을 여분으로 하나 더 주문했습니다.

3번은 힘이 너무 약하고,

2번은 기름이 계속 나오는지 다시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end.

 

 

 

DIY수경재배기를 만들었습니다. 아직 미완성이 이긴 하지만 주요 자재는 아래와 같습니다.

 

재배기를 만들고, 양액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갈 때 소음이 발생했습니다.

위쪽은 꿀럭, 꿀럭 공기가 들어가는 소리가나고,

아래쪽도 호스가 짧으면 물이 떨어지는 소리가 나고, 호스가 길면 중간에 물이 멈추기도 했습니다.

 

재배기 안쪽에 이런 저런 장치를 달아봤는데, 결국은 호스밸브를 이용해서 올라가는 양액을 유량을 줄여서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양쪽 문제가 유량이 많아서 발생했던 문제로, 유량이 줄면서 공기흐름이 원활해지면서 소음이 사라졌습니다.

 

1. 주요 자재

- 이케아 선반: 수경재배기를 놓을 장소

- 이케아 선반커버 : 온실 효과를 위한 커버

- 리빙박스: 수경재배기로 사용

- 원터치피팅: 배관 연결을 위해서 (PL, 밸브)

- 연질10mm 호스: 배관 호스 (에어 호스를 사면 안됨)

- 수중펌프 150L/h: 양액 순환을 위한 펌프

- 어항히터: 겨울 양액 온도 조절용

 

2. 자동화 도구

- 스마트 플러그: LED on/off 자동화 플러그.

- 스마트 USB : 자동펌프 on/off 자동화 usb 전원. 스마트 플러그를 사용해도 되지만 스마트USB가 가격도 저렴하고, 전력도 적게 사용함.

 

3. 기타

- 스마트 온습도계: 정확한 온/습도 측정. 스마트 플러그와 연계해서 on/off 자동화를 할 수 있음.

- 식자재용 온도계: 정확한 수온측정을 위한 용도.

 

식물 뿌리가 갈변하면서 섞는 현상이 발생해서, 포트 추가는 잠시 미루고 기본 구성 작업만 했습니다.

뿌리 갈변이 일단은 수온 때문인 것 같아 어항 히터를 양액통에 담궈 수온조절과 온실 온도 유지하도록 했습니다.

몇 일 더 지켜봐야 겠네요.

 

 

 

end.

'수경재배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 to DC 스텝다운 / Output USB  (0) 2025.01.04
수중펌프  (0) 2025.01.04
양액 교체를 위한 도구들  (0) 2024.12.29
수경재배를 위한 PVC 호스  (0) 2024.12.27
수경재배를 위한 리빙박스, 수납함  (0) 2024.12.14

 

 

 

양액 교체를 위한 도구들

 

왼쪽부터,

1. 양액통: 20L 생수통. 양액을 20L 대량으로 만들어서 필요할 때 사용한다.

2. 리빙박스: 양액 전체를 교체할 때, 수경재배기 뚜껑을 잠시 놓기 위해서 사용함.

3. 물조리개: 양액통에서 양액을 소분하여 수경재배기에 양액을 채울 때 사용함.

4. 물통과 자바라: 사용하던 양액을 수경재배기에서 뽑기 위해서 사용함. 다시 채울 때는 물조리개가 더 편해요.

 

팁번이 발생해서, 사용하던 양액을 모두 뽑고 수경재배기를 간단히 청소했습니다.

사용하던 양액중에서 위 부분 맑은 양액은 pH농도조절을 위해서 1/4은 다시 수경재배기에 넣고,

3/4는 새 양액으로 채웠습니다.

 

새 양액은 "대유 물푸레 1호 A, B"를 넣었네요. (기존 양액은 수경재배기에 딸려온 양액입니다.)

 

end.

+ Recent posts